[IT비즈뉴스 김소현 기자] 국내 유명 포털 서비스의 아이디 거래 계약서로 사칭한 해킹공격이 발견돼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4일 이스트시큐리티 시큐리티대응센터(ESRC)에 따르면 새롭게 이번에 발견된 공격은 악성파일명이 ‘2021-03-03 N사 비실명 ID GOLD님 거래 계약서 완료본.hwp.scr’이다.
ESRC는 지난해 말에도 ▲전체회원정보 및 비밀번호포함_xls(4).scr ▲관리정산 및 모든자료_xls(3).scr ▲거래안내_및_가격표_신청안내_xls3.exe 등의 파일명으로 유사한 형태의 공격이 다수 보고된 바 있다.
이 같은 공격은 파일 확장자가 정상적인 문서파일로 보이지만 실제로는 엑셀(.XLS), 한글(.HWP) 등 문서 확장자 뒤 실행파일(.EXE), 화면보호기(.SCR)와 같은 숨겨진 확장자가 존재하는 이중 확장자명 위장수법을 사용하고 있다.
이중 확장자명 위장수법은 윈도 운영체제(OS)가 ‘확장자명 숨김 처리’를 기본 설정돼 있는 점을 악용한 것이다.
만약 숨겨진 파일 확장자를 인지하지 못하고 정상 문서로 착각해 파일을 열면 추가적인 악성코드 다운로드, PC에 저장된 자료와 개인정보 유출 등 잠재적인 해킹 피해로 이어질 수 있다.
실제로 이번에 발견된 공격에서도 공격자가 추가 악성코드 배포를 준비한 정황도 발견됐다.
ESRC는 이번 공격에 사용된 악성 파일의 경우 해외 상용 난독화 제품인 ‘Crypto Obfuscator’ 도구로 닷넷 함수를 암호화해, 코드 분석 방해와 백신 탐지 우회 등 내부 기능을 쉽게 파악하지 못하도록 제작됐다고 설명했다.
특히 악성파일의 난독화 기능을 해제해 코드 내부를 상세히 분석한 결과, 유명 채팅 서비스인 디스코드(Discord)의 파일 저장소가 또 다른 추가 악성 파일 배포 목적의 경유지로 악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공격자는 디스코드 CDN 경로에 정상 hwp 문서와 닷넷 오픈 소스 기반 ‘AsyncRAT’ 악성 에이전트 파일을 연결했고, 사용자 컴퓨터에 ‘Microsoft.exe’ 파일명으로 실행되도록 만들었다.
이 위협에 노출되면 공격자는 원격제어 권한 획득을 통해 사용자 PC의 화면 녹화와 키보드 입력 내용 탈취 등 대부분의 기능 통제가 가능해진다.
ESRC센터장 문종현 이사는 “이중 확장자 방식의 단순 속임수 수법이 여전히 성행하고 있고 실제 감염까지 성공시키는 경우도 있어, 이메일이나 메신저 등으로 전달받은 파일의 확장자는 항상 눈여겨 볼 필요가 있다”며 “파일 확장자명을 확인 할 수 있도록 윈도 폴더 옵션을 변경하고, 아이콘과 확장자를 꼼꼼히 살펴보고 접근하는 보안 습관이 중요하다”고 당부했다.
관련기사
- 디지털 비즈니스 확대로 폭증하는 데이터, “어떻게 관리-운영할 것인가?” ②
- 비트디펜더, AWS 클라우드 솔루션 사업 확장…영업·마케팅 전략 강화
- 비대면 서비스 인프라 요소 ‘IoT 플랫폼’, 관련 특허출원도 활발
- “5G 성능 안정성 확보”…키사이트, ‘O-RAN 아키텍트(KORA)’ 솔루션 확장
- “지난해 코로나 관련 산업군 타겟한 사이버공격, 크게 늘었다”
- 향후 5년간 수요증가 예상되는 디지털 기술은 ‘AI/ML’
- 통일부 문서 사칭한 이메일 해킹공격 발견 ‘주의보’
- 삼성, 갤럭시 단말 보안 업데이트 4년 이상 지원 확대
- [신간] “디지털혁신(DT) 시대에서의 보안, 이 한 권으로 끝내라!”
- 트렌드마이크로, “취약한 보안이 스마트팩토리 시스템 중단 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