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비즈뉴스 최태우 기자] 서울시의회가 미세먼지 저감정책 마련을 위한 토론회를 열고 논의하는 자리를 가졌다.
서울시의회 환경수자원의원회 소속 유정희 의원 주관으로 열린 토론회에서 참석자들은 정부와 ICT기업, 시민 모두 참여 가능한 다각적인 방안 수립의 중요성에 뜻을 모았다.
11일 서울시의회 제2대회의실에서 열린 이번 토론회는 기존의 규제 중심 저감활동에서 그린산업 생태계 기업이 협업을 통해 지속가능한 미세먼지 저감활동을 서울시와 함께 모색하는 방안을 마련하는 데 집중됐다.
기조발표에 나선 한국공공관리학회 학회장인 국민대학교 김종범 교수는 현행 저감 대책의 문제점과 개선 방향에 대해 “실질적, 가시적 개선을 위해 관점의 변화가 필요하며 관리·공급자 중심의 관점에서 수요자 중심의 환경으로 구축이 선행돼야 한다”고 말했다.
주제 발표자로 나선 서울베큠 김종국 대표는 “미세먼지 노출도가 증가하면 사망률도 증가한다. 미세먼지로 인해 코로나19의 사망률도 23% 높아진다”면서 “모든 공공시설의 공기청정 살균기기 설치를 의무화하고 실내 공기질 평가기준 강화 및 주택시설 등 환풍시스템 필터의 일정 주기별 검진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유니네트워크 이상권 대표는 ICT 기반 공기질 측정 데이터 모니터링 플랫폼의 효율화 방안을 발표하면서 “공기질 데이터를 생활 속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조화하는 게 핵심”이라며 “공기질 정보를 IoT, 센서 등을 블록체인에 접목해 실시간 모니터링해 수집, 저장, 관리하고 서비스를 통해 공기질을 획기적으로 개선해 나갈 수 있다”고 설명했다.
유정희 의원은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대책은 정부, 지자체는 물론 대기오염 물질을 배출하는 사업장 기업과 일반 기업, 저감 기술을 가진 ICT기업과 국민 모두 참여할 수 있는 다각적인 방안을 수립해야 한다”고 전했다.
관련기사
- 국내 소셜벤처 근로자 절반은 30대…기술기반업종 대다수 차지
- 삼성, AI기능 진화한 ‘비스포크 에어드레서’ 출시
- 내년도 과기정통부 예산 17조5000억원 확정…한국판 뉴딜 속도 낸다
- KT, 네이버에 공기질 측정 데이터 공급…날씨·환경 서비스 고도화
- KETI·KACA, 친환경 공기산업 생태계·판로개척 ‘맞손’…MOU 체결
- 정경채 유니네트워크 CTO, “블록체인 기반 탄소배출권 시스템, 온실가스 저감 OK”
- LGU+ 5G 자율주행로봇, 실시간 대기환경 관리…전주시 도입
- 미세먼지 측정기술 고도화…IoT·생명공학 융합 기술 출원 증가세
- KT·힘펠, 실내 환기 시스템 실증사업 협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