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 중 공기질 데이터 실시간 수집-분석 가능
[IT비즈뉴스 김소현 기자] LG유플러스가 전주시와 손잡고 대기환경을 실시간 관리하는 5G 기반 자율주행로봇을 선보였다고 밝혔다.
앞서 LG유플러스는 지난해 9월 전주시와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24시간 대기질을 측정하고 오염물질 배출을 감시할 수 있는 자율주행로봇을 도입하기로 했다.
전주시 팔복동 산업단지와 만성지구, 혁신도시 등 주거지역에 자율주행 로봇 6대와 고정형 대기측정기 20기를 투입했다.
인공지능(AI) 기반으로 전주시 일대를 자율주행하는 환경관리로봇은 1km가량의 코스를 자율주행하면서 실시간으로 대기정보를 수집하고 무인순찰 중 획득한 환경정보를 5G 망으로 빠르게 전달하고 분석한다.
도구공간과 함께 제작한 이 로봇은 대기정보를 광주 MEC센터에 전달한다. 초고속·초저지연 특성인 5G를 통해 원격조종이 필요한 만약의 상황에도 끊김없이 연결돼 안전하게 움직일 수 있다는 게 사측 설명이다.
전용회선으로 연결된 광주 모바일엣지컴퓨팅(MEC)센터에는 통합관제 운영서버와 로봇관제/대기관제/영상관제/AI분석 서버가 가동되고 있다. MEC센터에서 처리된 데이터가 전주시의 관제센터까지 전용회선으로 전달되고 긴급상황 시에는 관제센터에서 로봇에 조종명령을 내릴 수 있는 구조다.
환경관리로봇의 순찰 1회당 약 30분이 소요되며 매일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 순찰을 돈다.
LG유플러스는 올해부터 지자체의 ESG 도입 확대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혁신 모델 등장할 것으로 전망하고 환경관리로봇 등 B2B 분야에서 5G 활용사례를 늘려 산업 전 분야에 디지털전환(DT)을 이끌어 나갈 계획이다.
서재용 LG유플러스 스마트인프라사업담당(상무)은 “5G 상용화 이후 2년간 5G가 산업, 공공분야의 고도화를 촉진시키는 B2B/B2G 사례를 발굴하기 위해 힘써왔다”며 “안정적인 품질을 바탕으로 확장된 5G 생태계를 만들기 위해 국내외 파트너사와 협력관계를 다져 나가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미세먼지 저감 정책 토론회, “IoT·블록체인 등 ICT로 공기질 개선 가능”
- 팀그릿, 로봇 제조 스타트업 ‘아이들(AIDL)’과 공동사업 MOU 체결
- “환경문제, 기술 혁신으로 해결”…KETI, KEITI와 에너지인프라·환경개술 개발 ‘맞손’
- KT, 네이버에 공기질 측정 데이터 공급…날씨·환경 서비스 고도화
- 네이버랩스, 미세 움직임 학습하는 ‘운동지능’ 탑재한 로봇 팔 공개
- LGU+, 충남 서산 현대오일뱅크 공장서 5G 자율주행로봇 실증
- 한국시장 진출하는 소프트뱅크로보틱스, 청소로봇 ‘위즈’ 공개
- 네이버랩스·성남시, AI·자율주행 생태계 활성화 협력…MOU 체결
- LGU+, 연내 100개 국사에 ‘에너지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내년 순차 확대
- SKT, 5G MEC 활용사례 공유…15일 ‘MEC 웨비나’ 개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