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 중 공기질 데이터 실시간 수집-분석 가능

5G 자율주행로봇이 전주시 전주방송공원 앞에 설치된 스테이션에서 무인순찰을 시작하고 있는 모습 [사진=LG유플러스]
5G 자율주행로봇이 전주시 전주방송공원 앞에 설치된 스테이션에서 무인순찰을 시작하고 있는 모습 [사진=LG유플러스]

[IT비즈뉴스 김소현 기자] LG유플러스가 전주시와 손잡고 대기환경을 실시간 관리하는 5G 기반 자율주행로봇을 선보였다고 밝혔다.

앞서 LG유플러스는 지난해 9월 전주시와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24시간 대기질을 측정하고 오염물질 배출을 감시할 수 있는 자율주행로봇을 도입하기로 했다.

전주시 팔복동 산업단지와 만성지구, 혁신도시 등 주거지역에 자율주행 로봇 6대와 고정형 대기측정기 20기를 투입했다.

인공지능(AI) 기반으로 전주시 일대를 자율주행하는 환경관리로봇은 1km가량의 코스를 자율주행하면서 실시간으로 대기정보를 수집하고 무인순찰 중 획득한 환경정보를 5G 망으로 빠르게 전달하고 분석한다.

도구공간과 함께 제작한 이 로봇은 대기정보를 광주 MEC센터에 전달한다. 초고속·초저지연 특성인 5G를 통해 원격조종이 필요한 만약의 상황에도 끊김없이 연결돼 안전하게 움직일 수 있다는 게 사측 설명이다.

전용회선으로 연결된 광주 모바일엣지컴퓨팅(MEC)센터에는 통합관제 운영서버와 로봇관제/대기관제/영상관제/AI분석 서버가 가동되고 있다. MEC센터에서 처리된 데이터가 전주시의 관제센터까지 전용회선으로 전달되고 긴급상황 시에는 관제센터에서 로봇에 조종명령을 내릴 수 있는 구조다.

환경관리로봇의 순찰 1회당 약 30분이 소요되며 매일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 순찰을 돈다.

LG유플러스는 올해부터 지자체의 ESG 도입 확대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혁신 모델 등장할 것으로 전망하고 환경관리로봇 등 B2B 분야에서 5G 활용사례를 늘려 산업 전 분야에 디지털전환(DT)을 이끌어 나갈 계획이다.

서재용 LG유플러스 스마트인프라사업담당(상무)은 “5G 상용화 이후 2년간 5G가 산업, 공공분야의 고도화를 촉진시키는 B2B/B2G 사례를 발굴하기 위해 힘써왔다”며 “안정적인 품질을 바탕으로 확장된 5G 생태계를 만들기 위해 국내외 파트너사와 협력관계를 다져 나가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ITBiz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