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비즈뉴스 최태우 기자] 국토교통부는 서울 서대문구, 충남 천안시 등 15곳을 ‘생활밀착형 도시재생 스마트기술 지원사업’ 대상지로 선정, 발표했다.
이 사업은 주민 체감도가 높고 상용화가 쉬운 스마트기술을 도시재생뉴딜사업지역에 적용해 지역문제를 해결을 위해 추진되며 지난해 처음 도입됐다. 선정된 지자체에는 최대 5억원의 국비를 지원한다.
국토부는 지난달 17일부터 19일까지 공모를 통해 지자체 26곳의 신청을 받고 주민 의견수렴과 사업 필요성/타당성, 실현가능성, 효과 등을 고려해 15곳을 최종 선정했다고 설명했다.
서울 서대문구는 천연·충현동 인근 통학로에 지능형 CCTV와 속도위반 경보장치 등을 설치해 과속차량과 사각지대 보행자 접근 정보 등을 전광판에 표출하는 사업을 신청했다.
천안시는 상습침수지역에 있는 산책로에 스마트 예보·경보 시스템을 구축해 하천수위가 적정 수준 이상으로 상승하면 하천입구를 자동으로 차단해 주민 안전을 확보하는 사업을 신청했다.
경남 고성군은 독거노인 가구에 움직임 감지 LED조명과 동작 감지 센서 등을 설치하고 설정시간 이상 움직임이 없는 등 이상징후가 감지되면 보호자·유관기관에 알림을 전송하는 모니터링 서비스 사업을 신청했다.
인천 동구와 중구, 충남 서산시, 경기 광명시, 전북 김제·전주·정읍시. 경북 경주시·성주군, 제주 서귀포시도 이번 사업 대상지에 올랐다.
국토부는 선정된 사업지 15고에 내달부터 국비가 지원되면서 본격 사업을 착수하고 속도감 있게 진행될 수 있도록 추진상황을 수시 점검한다는 방침이다.
국토교통부 도심재생과 박상민 과장은 “현재 추진 중인 도시재생뉴딜사업지에 스마트기술을 접목해 지역 내 문제해결에 시너지를 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며 “선정 이후에도 지자체와 긴밀하게 소통하며 사업이 원활히 추진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 부산시, 무장애 교통서비스 실증사업 속도…동구지역서 시범사업
- 포티투닷 니로EV, 국토부 임시운행 허가 취득…내년 모빌리티 시범서비스 개시
- “자율차 상용화 시대, 인명보호 최우선 설계-제작해야”
- “자율차 시대 앞당긴다”…국토부, 서울 등 6개 시도 자율차 시범운행지구 지정
- 드론택시 비행 시연한 KT, ‘K-드론시스템(UTM)’ 공개
- 국토부, 부산 에코델타 시범도시 스마트빌리지 입주자 모집 시작
- “해상도 12cm급 항공영상 데이터로 만든 국토데이터 구축된다”
- 교통안전공단, 인천교통공사 철도안전관리체계 변경 승인검사 시행
- 부산시, 中企 인플루언서 마케팅/3D·가상현실 뷰 제작 지원사업 모집
- 9월 ‘첨단투자지구 제도’ 본격 시행…투자 촉진 기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