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비즈뉴스 한지선 기자] 후후앤컴퍼니가 올해 1분기 후후 이용자들이 신고한 스팸전화·문자 통계를 28일 발표했다. 1분기에는 전년동기비 약 20만, 전분기비 12만여건 증가한 680만건의 스팸 신고가 접수됐다.
스미싱 스팸은 전년동기비 가장 큰 증가율을 보였다. 스미싱은 문자메시지 내 인터넷 주소를 클릭하면 악성코드가 스마트폰에 설치돼 개인정보를 탈취하는 수법이다. 이 유형의 신고 건수는 약 14만여건으로 전년동기비 40% 증가했다.
절대적인 신고 건수는 전화를 통한 스팸 유형에 비해 적으나 문자 메시지 특성 상 매번 새로운 수법으로 피해자를 속이기 쉽다. 실제 입금 등 복잡한 행위가 필요한 보이스피싱과는 달리 인터넷 주소 클릭 같은 단순한 행위로 피해를 볼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특히 최근 가상화폐 급등에 따라 2017년 코인 광풍 이후 자취를 감췄던 ‘가상화폐 거래소 사칭’ 스미싱 메시지가 상승세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파악된다.
후후는 앱에서 제공되는 ‘실시간 스미싱 위험 탐지 데이터를 인용해 비트코인이 급등한 2월 중순부터 스미싱 탐지가 2만여건으로 증가했고 3월 중순 한국 토종 코인의 급등 이후 7만여 건으로 약 3.5배 증가했다고 밝혔다.
최다 신고 유형 1위는 ‘주식·투자’ 스팸이다. 해당 유형은 전년동대비 29만여건이 늘면서 총 194만여건의 신고가 접수 됐다. 이 수치는 전분기의 ‘대출 권유’ 스팸의 182만여건을 경신한 수치며 후후 스팸통계가 집계된 이래 분기별 최다 신고 건수를 기록했다.
주식·투자 스팸은 지난달에만 71만여건이 신고돼 월별 최다 신고 건수 역시 경신했다. 지난해 ‘주식 빚투’를 이어 가상화폐가 사회적 이슈로 대두되면서 투자와 자산증식에 관심이 높아진 일반 대중의 심리가 반영된 것으로 분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