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다수 국내 자동차 부품업체가 전장반도체 부족사태로 경영상의 어려움을 겪는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source=xiaopeng]
대다수 국내 자동차 부품업체가 전장반도체 부족사태로 경영상의 어려움을 겪는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source=xiaopeng]

[IT비즈뉴스 최태우 기자] 국내 자동차 부품업체 10곳 중 8곳이 차량용 반도체(전장반도체) 부족사태에 따른 완성차OEM의 생산차질로 경영 상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한국자동차산업연합회는 10일 이달 자동차 부품업체 78곳을 대상으로 진행한 실태조사 결과 66곳(84.6%)이 경영애로를 호소하고 있다고 밝혔다.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78곳 중 전장반도체를 직접 구매해 부품을 생산하는 업체 21곳의 경우 90.5%가 경영상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답했다. 경영난이 ‘매우 심각하다’고 답한 업체는 35%, ‘심각하다’는 35%, ‘보통이다’는 30%로 조사됐다.

전장반도체 대금을 NXP반도체, 르네사스, 인피니언 등 글로벌 반도체 기업에 신속히 지급해야 하나 상위 협력사의 부품 대금 정산이 불규칙적으로 이뤄지면서 제때 지불하기 어려운 상황인 것으로 전해졌다.

반도체를 직접 취급하지 않는 업체(57곳)의 82.5%는 완성차업체의 납품량 감소로 경영난을 겪고 있다고 답했다. 이중 ‘매우 심각하다’는 업체는 27.9%, ‘심각하다’는 39.5%, ‘보통이다’는 32.6%로 조사됐다.

한편 부품 납품이 10% 가량 감소한 업체는 39.1%, 10~20% 감소는 19.6%, 20~30% 감소는 30.4%, 30% 이상 감소는 10.9%로 조사됐다.

조사업체의 48.7%는 ‘물류비 상승으로 인한 부담이 심각’하다고 응답했다. 물류비가 ‘10% 이내 상승했다’는 60.3%, ‘10~50% 상승했다’는 24.4%, ‘50~100% 상승했다’는 2.6%, ‘100% 이상 상승했다’는 6.4%로 조사됐다.

일감이 부족한 상황에도 67.9%의 업체가 근로자에게 정상 급여를 지급하고 있다고 답했다.

부품업계는 정부의 금융지원이 시급하다면서 ▲대출 프로그램 확대 ▲대출 만기 연장 ▲유동화회사 보증(P-CBO) 발행 확대 및 조건 완화 ▲고용안정 기금 확대와 조건 완화 ▲물류비 감면 지원 등을 요구했다.

금융지원이 필요한 규모로는 5억원 이하가 12.5%, 5억~10억원 40%, 10억~50억원 20%, 50억~100억원 25%로 조사됐다.

한편 이달 6일 긴급회의를 열어 부품업계 지원책을 논의한 협회는 산업부, 기획재정부, 금융위원회, 고용노동부에 부품업계 경영애로 해소를 위한 대책 마련을 요구할 계획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ITBiz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