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비즈뉴스 최태우 기자] 국내 자동차 부품업체 10곳 중 8곳이 차량용 반도체(전장반도체) 부족사태에 따른 완성차OEM의 생산차질로 경영 상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한국자동차산업연합회는 10일 이달 자동차 부품업체 78곳을 대상으로 진행한 실태조사 결과 66곳(84.6%)이 경영애로를 호소하고 있다고 밝혔다.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78곳 중 전장반도체를 직접 구매해 부품을 생산하는 업체 21곳의 경우 90.5%가 경영상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답했다. 경영난이 ‘매우 심각하다’고 답한 업체는 35%, ‘심각하다’는 35%, ‘보통이다’는 30%로 조사됐다.
전장반도체 대금을 NXP반도체, 르네사스, 인피니언 등 글로벌 반도체 기업에 신속히 지급해야 하나 상위 협력사의 부품 대금 정산이 불규칙적으로 이뤄지면서 제때 지불하기 어려운 상황인 것으로 전해졌다.
반도체를 직접 취급하지 않는 업체(57곳)의 82.5%는 완성차업체의 납품량 감소로 경영난을 겪고 있다고 답했다. 이중 ‘매우 심각하다’는 업체는 27.9%, ‘심각하다’는 39.5%, ‘보통이다’는 32.6%로 조사됐다.
한편 부품 납품이 10% 가량 감소한 업체는 39.1%, 10~20% 감소는 19.6%, 20~30% 감소는 30.4%, 30% 이상 감소는 10.9%로 조사됐다.
조사업체의 48.7%는 ‘물류비 상승으로 인한 부담이 심각’하다고 응답했다. 물류비가 ‘10% 이내 상승했다’는 60.3%, ‘10~50% 상승했다’는 24.4%, ‘50~100% 상승했다’는 2.6%, ‘100% 이상 상승했다’는 6.4%로 조사됐다.
일감이 부족한 상황에도 67.9%의 업체가 근로자에게 정상 급여를 지급하고 있다고 답했다.
부품업계는 정부의 금융지원이 시급하다면서 ▲대출 프로그램 확대 ▲대출 만기 연장 ▲유동화회사 보증(P-CBO) 발행 확대 및 조건 완화 ▲고용안정 기금 확대와 조건 완화 ▲물류비 감면 지원 등을 요구했다.
금융지원이 필요한 규모로는 5억원 이하가 12.5%, 5억~10억원 40%, 10억~50억원 20%, 50억~100억원 25%로 조사됐다.
한편 이달 6일 긴급회의를 열어 부품업계 지원책을 논의한 협회는 산업부, 기획재정부, 금융위원회, 고용노동부에 부품업계 경영애로 해소를 위한 대책 마련을 요구할 계획이다.
관련기사
- 韓 AI칩·전장반도체 기술 경쟁력, 선진국 대비 60점 수준
- AI, 빅데이터, 자동화 도입…2030세대 10명 중 8명, “미래 일자리 감소 우려”
- 전장반도체 리드타임 더 늘었다…“국산화율 높이고 생태계 구축해야”
- “다임러·포드에 이어 또”…재규어랜드로버, 英 공장 생산중단 발표
- 日 르네사스, 클린룸 화재 복구 완료…이르면 19일 생산재개
- 수급불안정 ‘車반도체’ 자립화…정부, R&D에 2천억 투입
- “전장반도체 부족도 문제인데”…日 도요타, 지진 피해로 공장 절반 멈춘다
- 美 제너럴모터스(GM), 전장반도체 부족으로 4개 공장서 생산 줄인다
- 산업부, 11일 ‘디지털경제동반자협정(DEPA)’ 가입 관련 공청회 연다
- 삼성SDS, 중소 수출기업 물류 지원 서비스 ‘첼로 스퀘어 4.0’ 공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