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비즈뉴스 김소현 기자] 네이버가 서울대학교와 ‘초대규모(Hyperscale) 인공지능(AI)’ 공동연구를 추진한다.
네이버와 서울대학교는 10일 최인혁 네이버 COO, 서울대 AI 연구원 장병탁 원장 등 주요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초대규모 AI 공동연구를 위한 협약을 체결했다.
양측은 최근 AI업계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떠오른 초대규모 AI 분야에서의 공동연구 수행을 위해 ‘서울대-네이버 초대규모 AI 연구센터(SNU-NAVER Hyperscale AI Center)’를 설립하고 장기적인 관점에서 연구·교육협력을 강화하기로 합의했다.
이 연구센터에는 네이버와 서울대의 AI연구원 1백여명이 참여하며 3년간 연구비와 인프라 지원비 등을 포함해 수백억원 규모의 투자가 이뤄질 전망이다. 초대규모 한국어 언어모델을 발전시키고 언어, 이미지, 음성을 동시에 이해하는 초대규모 AI를 공동 개발해 글로벌 AI기술을 선도하는 것을 목표로 세웠다.
그간 개별 프로젝트 중심으로 진행해온 산학협력과 달리 네이버-서울대의 연구원이 하나의 연구센터를 구성하여 밀착 협력하는 것이 특징이라고 네이버는 설명했다.
네이버 연구진이 겸직교수로서 서울대 대학원생들이 AI 전문가로 성장할 수 있도록 공동연구지도하고 서울대 연구진도 네이버와의 AI연구에 적극 참여한다. 네이버는 AI 인재양성 차원에서, 서울대 학생들의 인턴십 및 산학협력 파견에도 협조하기로 했다.
원활한 연구 협력을 위해 네이버가 보유한 슈퍼컴퓨팅 인프라 및 데이터를 공동 연구센터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공유하기로 했다.
네이버 최인혁 COO는 “새로운 산학협력 모델을 바탕으로 네이버와 서울대의 연구진이 함께 만들어낼 강력한 연구 시너지가 기대된다”면서 “네이버의 인프라와 데이터, 양측의 연구역량이 합쳐진 공동 AI연구센터를 통해 글로벌 경쟁자들에 맞서 초대규모 AI 분야의 연구를 선도해나가겠다”이라고 말했다.
장병탁 서울대 AI 연구원장은 “AI 분야에서 연구를 하려면 인프라와 인력이 모두 중요하다”고 강조하고 “양측의 AI인재가 힘을 합쳐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AI를 개발할 수 있다고 확신한다”고 전했다.
관련기사
- 인공지능(AI/ML)이 자연어처리 과정에서 문장의 품사를 알아내는 방법 ①
- 네이버, “실리콘밸리 중심 북미지역 R&D 네트워크 강화”
- KT, 우리은행·IBM과 NLP/AI모델링 등 금융권 AI서비스 개발 ‘맞손’
- 인공지능(AI/ML) 활용한 의료진단 기술 특허출원 증가세
- 네이버, 외화채 증액 ‘리오프닝’…3억달러 추가조달 완료
- 韓 AI칩·전장반도체 기술 경쟁력, 선진국 대비 60점 수준
- 한컴·문정원, 개방형 문서(HWPX) 전환 협력…공공문화데이터 개방 확대
- 국내 연구진, 디스플레이 신소재 ‘페로브스카이트 양자점’ 안정화 기술 개발
- 네이버, KAIST와 초대규모 AI기술 공동연구 ‘맞손’…MOU 체결
- 하이퍼클로버 공개한 네이버…“한국어에 최적화된 초대규모 A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