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비즈뉴스 최태우 기자] 정부가 2025년까지 수출 중소기업을 지금의 2배 수준인 18만5000개로 늘리기로 하고 맞춤형 정책 지원을 추진한다.
중소벤처기업부는 지난 12일 열린 ‘제35차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 회의’에서 이같은 내용을 담은 ‘중소기업 수출지원 고도화 방안’을 확정했다고 밝혔다.
앞서 정부는 지난해 9만4900개 수준이었던 수출 중소기업을 2025년까지 최대 9만개 더 늘린다는 목표를 세웠다.
이 중 수출 스타트업은 2만6000개에서 5만개로, 수출 소상공인업체는 2만4000개에서 5만개로 확대한다. 온라인 수출 중소기업은 7천개에서 4만개로, 기술수출 중소기업은 3천개에서 1만개로 늘린다.
정부는 목표를 실현하기 위해 스타트업, 소상공인, 일반 중소기업으로 나눠 맞춤형 지원 전략을 수립하고 지원에 나설 계획이다.
스타트업은 글로벌 기업과 합작법인을 설립한 뒤 제품의 양산과 수출까지 하는 선도모델을 발굴한다. 이들 스타트업에는 사업화자금과 금융, 해외 마케팅 등이 지원된다.
9월 독일에서 열리는 세계가전박람회(IFA)에서는 벤처·스타트업 중심의 통합 전시관을 운영하고 참여 스타트업에는 코로나19 백신 우선 접종을 추진하기로 했다.
아울러 ‘수출 유망 소상공인 지정제도’를 신설해 글로벌 진출 가능성이 큰 소상공인을 연 1천여개사를 발굴, 선정할 계획이다.
온라인 수출 중소기업에는 내년께 조성되는 천안 스마트공동물류센터 입점기회를 제공하고 자체 물류센터 건립도 지원하기로 했다.
기술수출 중소기업을 위해서는 300억원 규모의 전용 지원자금이 신설된다.
중기부 권칠승 장관은 “이번 대책은 코로나19 이전 보다도 나아지고 있는 중소기업 수출을 최대한 지원해 더 활성화하겠다는 것”이라며 “이번 대책이 수출 중소기업 현장에서 원활히 작동할 수 있도록 끝까지 챙길 것”이라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 콘텐츠 개발 스타트업 뉴작, 증강현실 장치 제어 기술 특허등록
- 개인투자조합 등록제 시행 20년…결성액 1조 넘었다
- 모빌리티 생태계 연구협 ‘소프트웨어 리퍼블리크’ 발족, 다쏘 등 유럽 5개사 참여
- 경기혁신센터·DB손해보험, 인슈어테크 서비스 활성화 MOU 체결
- 중기부, 스마트상점 맞춤형 지원…업종별 협회·단체 모집
- 정부, 올해 비대면 분야 유망 스타트업 400개사 키운다
- 중기부, ‘선도형 디지털 클러스터’ 3개 컨소시엄 선정
- 삼성SDS, 중소 수출기업 물류 지원 서비스 ‘첼로 스퀘어 4.0’ 공개
- HMM, 1분기 실적 영업익 1조193억원…사상 최대 기록
- 델테크놀로지스, 비영리 오픈데이터 기관과 코로나19 후유증 치료 DW모델 구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