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종·기업별 수출, K자형 양극화 우려도
[IT비즈뉴스 김소현 기자] 우리나라 경제성장을 견인해 온 수출이 상반기 대비 하반기에는 둔화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한국경제연구원이 시장조사 전문기관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매출액 1,000대 기업 중 반도체, 자동차, 철강 등 12대 수출 주력업종을 대상(150개사 응답)으로 ‘2021 하반기 수출 전망 ’조사를 진행한 결과 올해 하반기 수출은 전년동기비 2.3% 증가할 것으로 전망됐다.
기업 수 기준으로는 과반(55.2%)의 기업이 올해 하반기 수출이 감소할 것으로 예상했다.
업종별로 ▲전기전자(감소 70.0%, 증가 30.0%) ▲자동차·전장부품(63.0%, 37.0%) ▲바이오헬스(59.5%, 40.5%) ▲석유화학·석유제품(52.4%, 47.6%) 등은 수출 감소를 전망한 기업이 증가를 전망한 기업보다 많았고 ▲철강(46.2%, 53.8%) ▲일반기계·선박(31.8%, 68.2%) 등은 수출 증가를 전망한 기업이 감소를 전망한 기업보다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경연은 “하반기 수출 증가 기업보다 감소 기업이 많은 상황에서도 전체 수출이 증가한다는 것은 일부 업종과 기업이 전체 수출 증가세를 견인할 것이라는 의미”라며 “수출에서도 업종과 기업별로 실적이 갈리는 K자형 양극화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고 우려했다.
하반기 수출이 전년동기비 감소할 것으로 전망한 기업들은 코로나19 지속으로 인한 세계 교역 위축(44.4%), 수출 대상국의 경제 상황 악화(16.2%), 원화 강세로 가격 경쟁력 악화(7.4%) 등을 원인으로 지목했다.
반면 수출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한 기업들은 코로나19 완화 및 세계 경제 반등에 따른 교역 활성화(51.3%), 수출 대상국의 경제 상황 개선(19.8%), 원화 약세로 인한 가격 경쟁력 강화(9.6%) 등을 이유로 꼽았다.
응답 기업 중 과반(53.3%)은 올해 하반기 수출 채산성이 전년동기와 비슷한 수준일 것으로 전망했다. 수출 채산성이 개선될 것으로 응답한 기업은 28.7%, 악화될 것으로 응답한 기업은 18.0%로 집계됐다.
하반기 우리 기업들이 수출 채산성을 확보할 수 있는 적정 원/달러 환율은 평균 1,122원으로 나타났다.
손익분기 원/달러 환율은 평균 1,116원으로 2021년 1월(1,097원), 2월(1,112원) 평균 수준의 환율이 하반기에도 나타날 경우 손익분기 환율에 미달하여 기업들이 피해를 볼 우려가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한편 올해 하반기 수출 환경의 위험 요인으로 코로나19 지속(42.9%), 원자재 가격 변동(23.3%), 원/달러 환율 변동성 확대(10.3%), 한일관계·미중분쟁 등 외교 현안(8.9%), 보호무역주의 확대(7.5%) 등을 꼽았다.
국내 기업의 수출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는 백신확보 등 코로나19 대응 총력(31.8%), 금융·세제지원 등 확대(18.5%), 불합리한 기업규제 개선(18.3%), 한일관계·미중분쟁 등 외교 현안 해결(14.4%), 신흥시장 발굴 및 수출처 다변화 등 지원(11.2%) 등의 정책이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관련기사
- 디지털 구독경제 시장 확대에 투자자 관심 Up…“지난해 93억달러 몰렸다”
- 한경연, “MSCI 재분류 시점, 한국 선진시장 편입 노력해야”
- 기업주도형 벤처캐피털(CVC)이 주목하는 분야는 ‘SW’, ‘SaaS’, ‘AI/IoT’
- 국내 주요기업 58%, “올해 투자계획 없거나 전년비 축소”
- 원격근무 확산세, 대다수 CEO 최대 리스크로 ‘사이버보안’ 꼽아
- 코로나19 경기침체, IMF 후 최장기간…“민간소비는 장기침체 지속”
- 올해 1분기 국가 총부채비율 증가폭 25.8%p…“민관 디레버리징 추진해야”
- 5월 수출액 45.6% 늘었다…32년 만에 최대폭 증가
- “AI로 품질 높인다”…현대모비스, 경영 전반 AI적용사례 40건 돌파
- 美 금리인상 시기 앞당길수도…한경연, “韓 대비책 마련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