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비즈뉴스 최태우 기자] 현대모비스가 40여개의 인공지능(AI) 기술을 경영 전반에 적용, 품질개선에 나선다.
6일 현대모비스에 따르면, 부품 설계와 시험, 생산, 품질 등의 분야에서 AI기술을 적용한 사례는 40건을 넘어섰다.
현대모비스는 2018년 AI기술 개발을 위한 전담 팀을 구성하고 2019년부터는 일반 직원을 대상으로 AI 활용역량 강화교육을 진행 중이다.
현대모비스에 따르면 가장 많은 AI 관련 프로젝트가 진행된 분야는 설계·시험 관련 분야다. 전장부품은 여러 극한환경에서 안정적으로 구동해야 해 다양한 시험을 거친다. 많은 시간과 비용이 드는데 AI를 통해 이 과정에서 효율성을 높였다는 게 사측 설명이다.
AI로 생산공정 최적화와 전장부품의 품질 검사방법을 고도화하는 시스템도 개발했다.
가령 특정 부품에 보증기간 내 불량이 발생한 경우, 부품에 대한 데이터를 시스템에 입력하면 제품 특성에 최적화된 AI모델을 추천하고, AI는 다양한 변수를 자동 분석해 솔루션을 제시하는 형태다.
현업 담당자가 AI기술에 대한 지식 없이 간단한 교육만 받으면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된 점도 특징이다. 현대모비스는 이 시스템의 특허출원도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현대모비스는 조직 문화가 직무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한 모델, 전사 보안정책 강화를 위한 예외 유형 분류 모델, 협력사 위험을 사전에 감지하기 위한 알고리즘 등도 개발했다. 향후 경영 전반에 AI기술 접목을 확대할 계획이다.
정창모 현대모비스 데이터사이언스팀 팀장은 “많은 임직원이 AI기술에 막연히 어려운 기술이라는 인상을 받고 있으나 이왁 같은 편견이 사라지고 있다”며 “앞으로도 AI기술을 통해 더 많은 현업의 복잡한 문제를 효율적으로 해결할 수 있도록 지원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 NXP반도체, TSMC 16나노 공정 기반 차량용 SoC·레이더칩 양산
- 카네비컴, 한국토요타와 블랙박스 공급계약 체결
- 한경연, “12대 주력업종 대기업, 하반기 수출 전년비 2.3% 증가”
- 반도체 부족에 8인치 팹(Fab) 장비투자 확대…“4년간 팹 22기 추가 건설”
- 모빌아이, 티어1 ZF와 토요타 ADAS용 중거리 레이더 개발 ‘맞손’
- 현대모비스, 연세대와 기술협력 맞손…“2025년까지 IP 1만2000건 확보”
- AS부품 공급 효율성 높인다…현대모비스, 데이터 기반 시스템 ‘맵스’ 운영 개시
- ‘정의선 시대’ 연 현대차그룹, 모빌리티(MaaS/TaaS) 강화 등 체질개선 집중할 듯
- 올해 1분기 상표출원 역대 최고치…전년비 22.4% 증가
- 뇌파 측정해 운전자 컨디션 확인…현대모비스, ‘엠브레인’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