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포스코]
[사진=포스코]

[IT비즈뉴스 최태우 기자] 포스코가 친환경 가스사업 개발을 통한 신사업 확장을 추진한다.

포스코는 1일 한국화학연구원, 포항산업과학연구원(RIST), 반도체용 특수가스 생산업체 티이엠씨(TEMC)와 함께 4자간 컨소시엄을 발족하고 ‘저 온난화지수 반도체·디스플레이용 식각가스 및 냉매가스 제조기술 연구개발 협력’을 골자로 하는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산업가스는 제조업, 반도체, 석유화학 등 다양한 산업에서 제품생산을 위해 사용하는 소재다. 특히 반도체업계에서 사용하는 식각가스(에칭가스)는 반도체 제조 중 회로의 불필요한 부분을 정교하게 깎아내는 기능을 하는 핵심소재다. 

냉매가스는 일반 가정의 냉장고나 에어컨을 포함해 산업현장에서도 가장 많이 사용하는 주요 소재다.

업계에서 현재 사용하고 있는 식각가스는 탄소배출권 비용 부담이 크고 사용상 규제도 검토되고 있다.

냉매가스도 오존층 파괴위험이 높은 성분이 함유된 제품은 2030년부터 전세계적으로 사용이 금지될 예정으로 친환경 식각가스와 냉매가스 수요도 커지고 있다.

시장조사 기관 마켓앤드마켓에 따르면 2019년 9조원 규모였던 저 온난화지수 식각가스 및 냉각가스 시장은 2035년 약 15조원 규모로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허나 국내의 경우 친환경 식각가스 수요의 약 90% 이상을 외국에서 수입해 사용하고 있다.

4자간 협약에 따라 한국화학연구원은 친환경 가스의 원천기술을 개발하고, RIST는 개발 기술의 규모 확대를 위한 연구를 수행한다. 포스코와 티이엠씨는 이 기술을 활용해 가스를 생산하고 2025년 상용화해 국내외 반도체 제작사 등에 공급한다는 계획이다.

포스코는 기존 한국화학연구원과 RIST가 협력했던 탄소자원화 연구에도 참여하기로 했다.

유병옥 포스코 산업가스·수소사업부장은 “포스코는 현재 제철공정에서 발생한 잉여가스를 산업용으로 판매하고 있다. 이번 협력을 통해 친환경 가스 시장으로 영역을 확장하고 신사업 기회를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ITBiz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