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샌타바버라 캘리포니아 주립대와 공동연구

삼성리서치아메리카(SRA) 실험실에서 삼성전자 연구원이 140GHz 통신 시스템을 시연하고 있다. [사진=삼성전자]
삼성리서치아메리카(SRA) 실험실에서 삼성전자 연구원이 140GHz 통신 시스템을 시연하고 있다. [사진=삼성전자]

[IT비즈뉴스 김소현 기자] 삼성전자가 미국 샌타바버라 캘리포니아 주립대와 6G 테라헤르츠(THz) 대역에서 통신 시스템 시연에 성공했다고 16일 밝혔다.

테라헤르츠 대역은 100GHz~10THz 사이의 주파수 대역이다. 보통 주파수 대역이 커지면 넓은 통신 대역폭을 사용할 수 있어 6G에서 요구하는 초고속 통신에 적합하다. 이 대역은 5G 대비 최대 50배 빠른 1Tbps를 목표로 하는 6G 통신의 후보 주파수 대역으로 꼽힌다.

허나 주파수 대역이 높아질 수록 특성상 경로손실이 크고 전파 도달거리가 짧아지는 문제가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전파를 특정 방향으로 송수신하는 고도의 빔포밍 기술이 필요하다. 초고속 통신을 위해 더 세밀한 RF칩의 회로제작 등 기술적인 난제도 있다.

최근 열린 국제전기전자공학회(IEEE) 국제통신회의(ICC2021) 테라헤르츠 통신 워크샵에서 삼성리서치와 삼성리서치아메리카(SRA), UCSB연구진은 공동으로 테라헤르츠 대역인 140GHz를 활용해 송신기와 수신기가 15m 떨어진 거리에서 6.2Gbps의 데이터 전송속도를 확보·시연했다고 발표했다.

기존 테라헤르츠 대역의 시연은 RF칩이나 모뎀 역할을 하는 계측장비와 안테나만을 이용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이었다.

삼성전자·UCSB 공동 연구진은 이번 시연이 RF칩, 안테나, 베이스밴드 모뎀까지 통합해 실시간 전송시연에 성공한 것으로 경로손실과 낮은 전력 효율성 등 그간 난제로 제기돼 온 이슈 부문에서 의미있는 진전을 이뤄냈다고 삼성전자는 설명했다.

삼성리서치 차세대통신연구센터장 최성현 전무는 “삼성전자는 그간 5G와 6G 기술혁신과 표준화를 주도해 왔다”며 “이번 시연은 이의 상용화 실현 가능성을 보여주는 중요 이정표”라고 말했다.

6G가 상용화되면 통신 성능의 획기적인 개선으로 몰입형 확장현실(XR)이나 홀로그램과 같은 신규 서비스가 모바일 단말에서도 지원이 가능해지고, 이동통신 기술의 적용영역도 위성통신이나 도심항공 모빌리티(UAM)까지 확장될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삼성전자는 2019년 삼성리서치 산하 ‘차세대통신연구센터’를 설립하고 5G 경쟁력 강화와 6G 선행기술 연구에 나서고 있다. 지난해 ‘6G 백서’도 공개하고 관련 기술 글로벌 표준화 및 생태계 확장에도 집중하고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ITBiz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