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부처 단일사업으로 향후 7년간 1조 974억 투입
[IT비즈뉴스 오현식 기자] 자율주행기술개발혁신사업단이 레벨4+ 자율주행 기술 개발을 본격적으로 시작했다.
자율주행기술개발혁신사업은 산업통상자원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토교통부, 경찰청 등 4개 부처가 추진하는 다부처 협업사업으로 7년간 총사업비 1조974억원을 투입해 2027년에는 레벨4+ 자율주행 기술을 상용화할 계획이다.
국제자동차기술자협회(SAE)에서 정의한 자율주행단계에 따르면, 자율주행 레벨4는 제어권 전환(자동차→운전자)없이 운행이 가능한 고도 자동화(High Automation) 단계를 의미한다.
정부는 레벨4 수준의 자율주행을 넘어 인프라와 사회 서비스까지 포함하겠다는 의미를 담아 레벨4+를 제시하고 있다.
이를 위해 자율주행기술개발혁신사업단은 ▲차량융합 신기술 ▲정보통신기술융합 신기술 ▲도로교통융합 신기술 ▲서비스창출 ▲생태계 구축 등 5대 전략분야를 중심으로 88개 세부과제를 지원할 계획이다. 올해는 53개 세부과제를 선정해 연구개발을 진행한다.
먼저 산업부는 차량융합 신기술 개발과 자율주행 생태계 구축 등 2개 전략분야, 16개 세부과제를 통해 자율주행 차량의 인지-판단-제어를 위한 자율주행 차량부품 개발을 주도한다.
과기정통부는 정보통신기술융합 신기술, 차량융합 신기술, 자율주행 생태계 구축 등 3개 전략분야, 15개 세부과제에서 데이터 수집·가공 자동화 기술, 차량통신·보안, 클라우드·엣지 연계 자율주행 인공지능 소프트웨어, 시뮬레이터 개발 등을 추진한다.
국토부는 도로교통융합 신기술 개발, 자율주행 서비스, 자율주행 생태계의 3개 전략분야, 13개 세부과제에서 도로-교통기술, 동적지도, 법/제도 개선, 모빌리티 서비스 실증 등을 주도한다.
경찰청은 도로교통융합 신기술, 자율주행 생태계의 2개 전략분야, 9개 세부과제를 통해 도로교통법 등 법제도 전반을 검토하고, 자율주행차의 운전능력 사전검증 및 운행 지원체계와 교통사고 분석기술 개발 등을 추진할 예정이다.
최진우 사업단장은 “이 사업은 다부처 단일사업으로 추진되는 만큼 통합목표 달성을 위해 부처간 경계를 두지 않고 세부과제 간 구체적인 연계·협력안을 마련할 예정”이라며, “사업 성공을 위해 사업단이 전방위적 매개체 역할을 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사업단은 국내 7개 자율주행 시범운행지구(서울 상암, 경기 판교, 충북, 세종, 광주, 대구, 제주)와 완성차 업체 등을 방문하여 성공적인 자율주행 레벨4+ 기술개발을 위한 협력방안 등을 논의할 예정이다.
관련기사
- 국내 최대 규모 미래차 기술 컨퍼런스 ‘AID 2021’, 이달 28일 개막
- 국토부 보유 3차원 고정밀지도 데이터 공개…자율차 산업 활성화
- 만도, 자율주행 사업 물적분할…“경쟁력 강화 일환, 2025년 매출 9조원 목표”
- ETRI, 운전석 없는 무인 셔틀버스 원내 시범운행
- 모라이, 네이버랩스와 자율주행 시뮬레이터 구축 ‘맞손’…ALT 고도화 협력
- ETRI, 자율차 제어 전환 가이드라인 개발·배포
- 현대건설, 무인 로봇 건설 현장에 도입…“품질·안정성 제고”
- 엔비디아, 누포트로보틱스와 오린 SoC 기반 자율주행트럭 기술 고도화
- 네이버랩스, 대단위 디지털트윈(DW) 구축 플랫폼 ‘어라이크’ 공개
- 모빌리티 행사에 부스 마련한 통신3사…‘UAM·모빌리티IVI·자율주차’ 서비스 공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