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타버전 출시 후 프로젝트 189개 생성, 오픈소스 컴포넌트 7천여개 공유
[IT비즈뉴스 최태우 기자] 카카오가 30일 오픈소스 관리 서비스 ‘올리브 플랫폼(Olive Platform)’의 정식버전을 공개했다.
지난해 11월 베타버전이 공개된 올리브는 개발자가 등록한 깃허브(Github) 프로젝트를 분석해 사용된 오픈소스 라이선스와 의무사항을 확인하고 리포트를 제공하는 오픈소스 관리 서비스다.
신뢰할 수 있는 오픈소스 데이터베이스(DB)를 구축해 쉽고 정확하게 오픈소스를 검증하는 것이 특징이다. 카카오 계정을 보유한 사용자는 누구나 오픈소스 데이터를 등록해 무료로 사용할 수 있다.
카카오는 올리브 출시를 통해 인디 개발자와 소규모 벤처기업이 오픈소스 관리영역에서 효율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베타버전은 현재까지 프로젝트 189개가 생성됐다. 오픈소스 라이선스 156개, 오픈소스 컴포넌트(Component) 7천여개가 공유됐으며, 공유 데이터는 자동분석과 사용자가 등록한 오픈소스 데이터 리뷰를 통해 추가된다.
정식버전은 오픈소스 컴포넌트 정보 분석을 통한 고도화된 자동분석 기능과 심플체크(Simple Check) 기능으로 라이선스 이슈 및 의무사항 등을 실시간으로 제공한다. 깃허브 개인 저장소를 지원하고 디자인 UI/UX 등도 개선했다.
카카오는 향후 깃허브 외 저장소를 추가 연동하고 다중 프로젝트 지원, 배포환경에 따른 정책 적용 등 개발자 니즈를 반영해 서비스 고도화에 나설 예정이다.
카카오 관계자는 “올리브가 오픈소스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관리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공유 데이터가 증가할수록 쉽고 빠르며 정확한 오픈소스 검증이 가능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 인텔·레드햇, 5G 오퍼링 협력 강화…레퍼런스 혁신사례 공개
- 오픈소스, ‘서비스형 소프트웨어(SaaS)’ 환경에서 관리해야 하는 이유 ②
- 하시코프, “멀티클라우드 환경, 복잡성 제거한 자동화 해법 제시할 것”
- GCP, 홈플러스 ‘고객데이터플랫폼(CDP)’ 구축 프로젝트 완료
- 쿤텍, 오픈소스 점검 서비스 'NHN 클라우드 마켓플레이스' 입점
- 티맥스오에스, 구름 플랫폼 기반 PC용 OS ‘Tmax구름’ 개발
- 네이버클라우드, 국내 최초 완전관리형 몽고DB 서비스 출시
- 큐브리드·알투비솔루션, 솔루션 연동 및 시장확대 협력 MOU 체결
- “훈련이 끝난 머신러닝(ML) 모델, 어떻게 서비스 할 수 있을까?”
- HPC·AI 워크로드 최적화…델테크놀로지스, 오픈소스SW ‘옴니아’ 공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