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심특허 498건 신청, 506개 과제에 특허 관점 전략(IP-R&D) 적용
2년 전 일본의 수출규제 이후 소부장(소재/부품/장비) 기술자립에 특허 빅데이터 분석이 크게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세계 약 4억8000만건의 특허 빅데이터는 산업계와 시장 동향, 글로벌 기업의 기술개발 동향 등이 집약된 정보다.
특허청은 2019년부터 정부와 중소기업의 소부장 핵심품목 연구개발(R&D) 과제 506개에 대해 특허 관점의 전략(IP-R&D)을 적용해 기술자립 R&D를 지원하고 있다고 밝혔다.
불화수소 등 핵심품목 특허를 다각도로 분석해 대체기술을 보유한 기업 등을 도출하고 공급선 다변화도 지원했다.
이를 통해 올해 3월 말 기준으로 핵심기술 특허 498건이 신청됐다. 소부장 분야의 대일 특허 무역수지 적자는 2019년 대비 71% 감소하는 등 가시적인 성과를 냈다.
소부장 수출규제 극복을 위한 R&D 전략 지원과 특허분쟁 대응을 위한 제도적 기반도 마련했다.
지난해 소부장특별법, 국가연구개발혁신법 시행령에 정부의 소부장 R&D 과제에 대한 IP-R&D 지원 근거규정을 마련하고, 중소기업이 IP-R&D를 활발히 이용할 수 있도록 IP-R&D에 지출한 비용에 대한 세액공제도 도입했다.
우리기업을 대상으로 한 외국의 침해소송, 이의신청 등 특허분쟁을 선제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적시 지원할 수 있도록 ‘지재권분쟁 대응센터’도 지난해 11월 신설했다.
김용래 특허청장은 “소부장 기술자립의 갈 길이 멀기 때문에 수출규제가 2년이 지난 현 시점에서 주요 소부장 프로젝트에 대해 특허 진단을 실시해 향후 기술개발 방향을 재설정해 볼 필요가 있다”고 언급했다.
이어 “올해 R&D 100조원 시대를 맞아 소부장 뿐 아니라 국가 주요 R&D 프로젝트에 대해 IP-R&D를 제도화시켜 기술개발 효율성을 높여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 TI, 마이크론 12인치 팹 인수…65나노/45나노(nm) 제품 양산확대
- “반도체 산업 ESG 환경경영 과제 조망하는 포럼 열렸다”
- 반도체 정밀도 핵심소재 ‘연마제’, 국내기업 특허출원 증가세
- 정부, 소부장 성장 지원 박차…민·관 투자활성화 MOU 체결
- K-반도체 전략 예타 본격화…‘K-센서·PIM 개발 등 5대 핵심사업’
- 韓 AI칩·전장반도체 기술 경쟁력, 선진국 대비 60점 수준
- 특허청, 소부장 분야 혁신특허 창업기업 모집…이달 30일까지
- [포토] 소부장 강소기업 방문한 김용래 특허청장
- 정부, ‘민·관 협력 ICT 새싹기업 육성’ 19개사 선정…지원사업 본격화
- 반도체 생산 공업용수 ‘초순수’ 기술 국산화…민관 연구개발 시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