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urce=rockwellautomation]
[source=rockwellautomation]

전동기제어반(Motor Control Center, MCC) 내에서 통제되지 않은 아크플래시가 발생할 결우 이를 해결하기 위한 비용과 시스템의 가동중단이 발생하며, 심각한 경우 작업자가 부상을 당할 수 있다. 실제로 미국에서만 매일 5~10건의 아크플래시 관련 폭발이 발생하고 있다.

제조업에서는 시간은 곧 돈이다. 즉, 가동중단은 수익에 치명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최근 3년 동안 약 82%의 기업은 가동중단을 경험한 적이 있다는 조사결과가 발표된 바 있는데, 시스템 가동이 중단되면 기업은 시간당 무려 26만달러의 손해가 발생할 것으로 추정된다.

손상된 장비를 교체하는 비용까지 더하면, 이러한 가동중단으로 인한 재정적 손해는 치명적일 수 있다. 비용적 측면으로만 계산할 수 없는 영향으로 가장 중요한 자산인 직원이 부상 위험에 노출될 수 있습니다. 

미국 내에서의 수치를 살펴보면, 평균 1,952명의 사람들이 매년 전기로 인해 부상을 당하고 있고, 2012년에서 2016년 사이에 총 739명의 근로자들이 전기 노출로 사망했다. 이는 5년 동안 매주 거의 3명이 사망한 것과 같다.

그렇다면 MCC를 더 안전하게 설계하기 위해서 무엇이 필요할까?

◆버스 설계: 수평 전원 버스의 설계 방식과 MCC 내 위치 모두가 안전성 측면에서 큰 차이를 만들 수 있다. CENTERLINE MCC의 수평 버스는 MCC 후면의 수직 중앙에 위치한다. 장치를 제거할 때 자동 셔터가 수직 버스를 즉시 격리해 전원이 공급된 버스에 대한 노출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다.

견고하고 유지 보수가 불필요한 설계로 핫스팟이나 고장의 가능성을 낮춘다. CENTERLINE MCC는 포인트 브레이싱이 아니라 수평 버스 바를 지지하며 추가적인 버스 설계 안전을 위해 절연 수평 버스와도 함께 사용할 수 있다.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전원 분리: 외함 도어를 열지 않고 각 MCC 플러그인 장치에서 전원을 분리하거나 연결할 수 있어 작업자의 전기 위험 노출을 최소화할 수 있다. CENTERLINE MCC에서 사용할 수 있는 SecureConnect 기술을 통해 멀티 포인트 검증 시스템이 외함 도어를 열기 전에 전원이 분리되었는지 확인한다. 

이 시스템을 사용하면 전체 시스템을 오프라인으로 전환할 필요 없이 안전하게 장치에서 작업하거나 장치를 제거할 수 있다. 기존의 랙 시스템과 달리 SecureConnect 기술을 통해 장치를 쉽고 빠르게 분리할 수 있으며, 랙 시스템보다 빠르게 작업할 수 있어 전원 안정기를 연결하거나 분리할 때 아크가 발생할 위험도 감소한다.

◆아크 방지 솔루션: MCC에 아크 방지 기능을 탑재해 출시하는 공급업체의 경우 아래의 요건을 충족해야 한다.

- 특정 전압, 전류 및 기간의 결과를 인증하는 제3자 테스트 인증서를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구매 전에 관련 안전 인증서를 요청할 수 있어야 한다.
- MCC 안의 여러 위치(장치, 버스, 선로 등)에서 테스트를 수행해야 한다. 일부 제조업체는 테스트 통과가 더 용이한 위치인 수직 버스 위치에서만 테스트를 수행하고 있다.
- IEC 설치에 관한 IEC/TR61641 표준이나 NEMA 설치에 관한 IEEE C37.20.7을 준수해야 한다.

제조업체가 이러한 기준을 충족한다는 문서를 제공할 수 없는 경우 장비에 아크 방지 기능이 없어 사용자와 자산이 더 큰 위험에 처할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글: 마크 오사나(Mark Ossanna) / 마케팅 스페셜리스트 / 로크웰오토메이션

관련기사

저작권자 © ITBiz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