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연, “의약·의료, 전기·전자 맑음, 기계·조선은 흐림”
우리나라 주요 기업의 올해 상반기 매출액이 코로나19 사태 이전보다 성장했으나 해외시장 의존도는 높아졌다는 분석이 나왔다. 의약·의료, 전기·전자 매출은 늘고 기계, 조선 매출은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경제연구소는 23일 국내 매출액 상위 100대 기업의 연결재무제표를 분석한 내용을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총 매출액은 723조6000억원으로 2019년 상반기(674조1000억원)에 비해 49조5000억원 늘었으나 국내 매출 증가분은 3조1000억원(6.3%)에 불과했다. 46조4000억원(93.7%)은 모두 해외시장에서 발생한 매출로 분석됐다.
올해 상반기 100대 기업의 해외 매출액은 397조3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코로나19 직전인 2019년 상반기(350조9000억원) 대비 13.2% 증가한 수치다. 다만 국내 매출액(326조3000억원)은 2019년(323조2000억원)에 비해 1.0% 느는데 그쳤다.
전체 매출액 대비 해외 매출액 비중을 의미하는 해외시장 의존도도 52.1%에서 올해 54.9%로 2.8%p 상승했다.
한경연은 상위 기업을 제외한 상당수의 기업이 내수시장에서 코로나19 사태의 충격으로부터 벗어나지 못하면서 국내 매출의 양극화가 심화된 것으로 분석했다.
매출액 상위 20개 기업의 올해 상반기 국내 매출액 합계는 148조1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2019년 상반기(131조원) 대비 13.1% 증가한 것이다. 반면 하위 80개 기업의 국내 매출액 합계는 7.3% 감소한 178조2000억원으로 집계됐다.
동기간 100대 기업의 매출액 5분위 배율(매출액 상위 20%와 하위 20% 간 평균 매출액 비율)은 10.7배에서 11.3배로 확대됐다.
한편 해외시장에서는 지난해 코로나19 백신접종이 본격화된 미국과 유럽에서의 매출액은 늘었다. 100대 기업의 올해 상반기 미주지역 매출액은 127조8000억원으로 2019년 상반기(103조8000억원) 대비 23.1% 늘었다. 유럽지역 매출액은 63조6000억원에서 80조1000억원으로 25.9% 늘었다.
하지만 백신접종이 상대적으로 더디게 진행되고 있는 아시아지역 매출액은 1.6% 증가하는 데 그쳤다.
업종별로는 의약·의료, 전기·전자 등 6개 업종의 올해 상반기 해외 매출이 2019년에 비해 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계, 조선, 서비스 등 3개 업종은 매출액이 모두 감소했다.
의약·의료 업종은 코로나19 진단키트 수요 급증 등으로 국내 매출은 23.4%, 해외 매출은 약 12배로 증가했다. 전기·전자 업종은 모바일, PC, 반도체 등의 수요가 늘며 국내와 해외 매출이 각각 19.6%와 19.0% 늘었다.
기계 업종은 중국의 건설시장 부진으로 2019년 상반기에 비해 국내와 해외 매출이 각각 22.7%와 36.4% 감소했다. 조선 업종도 국내 매출은 22.2%, 해외 매출은 75.6% 감소했다.
추광호 한경연 경제정책실장은 “변이 바이러스 확산에 따른 사회적 거리두기 장기화로 우리나라 내수시장의 회복속도가 더딘 상황”이라며 “백신접종률을 높이고 내수경기 활성화를 위한 대책 마련에 정책 역량을 집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 한경연, 올해 경제성장률 3.9% 전망…“집단면역 달성 등 4차 대유행 수습이 관건”
- 글로벌 CEO 절반 이상, “3년 내 세계경제 회복 전망”
- ESG 정보 공시 강화…“코스피200 기업 38%, ESG위원회 도입했다”
- “e커머스·배달서비스 등 신성장 스타트업 가치평가 방식 변해야…”
- 건설업계에 부는 DT 프로젝트 바람…“선도 기업들, 기술투자 크게 늘었다”
- 한경연, “美 공급망 강화·지원정책, 韓 경제도약 계기로 활용해야”
- 美 금리인상 시기 앞당길수도…한경연, “韓 대비책 마련해야”
- 솔루스첨단소재, 구조 인지질 개발 착수…mRNA 백신 원료시장 진출
- 4개 키워드로 본 ‘위드 코로나’…“방역체제 전환, 경제회복 기대감”
- “친환경·디지털이 산업 트렌드 주도, 내수·서비스업은 활성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