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금융연구소, 자동차·제조업 성장세 둔화…서비스업 활성화 전망
팬데믹 특수로 호실적을 이어간 IT와 자동차의 성장세는 둔화되고, 위드코로나 시행으로 한동안 움추렸던 서비스업은 활성화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하나금융경영연구소는 27일 ’2022년 산업 전망‘을 발표하고 향후 주요 산업 경기를 이같이 진단했다. 연구소는 보고서를 통해 글로벌 교역 증가폭 축소 및 역기저효과 등으로 인해 주요 산업의 회복세가 둔화될 것으로 예상했다.
선진국 회복세 둔화와 공급망 차질 지연 등으로 인해 제조업의 전반적인 성장세는 둔화될 것이나 친환경·디지털이 산업 트렌드를 주도하며 개선세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했다.
위드코로나로의 전환으로 인해 부진했던 숙박, 여행, 음식업, 면세점 등 내수 서비스업은 회복될 것으로 기대했다.
연구소는 팬데믹 특수로 호실적을 보였던 IT, 자동차 등 최종재 제조업의 경기 사이클이 둔화될 것으로 전망했다. 최근 공급망 차질과 중국 경기둔화 리스크, 원자재가 부담이 국내 주요 산업의 회복세를 끌어내릴 것으로 내다봤다.
분석대상 14개 산업 중 이차전지, 화학·정유 등 일부 소재류를 제외하면 반도체, 디스플레이, 자동차 등 올해 선전했던 산업의 경기 싸이클이 하강할 것으로 전망했다.
반도체, 철강은 전방산업 둔화로 안정 국면에 진입할 것으로 판단했으며 디스플레이, 자동차 등은 팬데믹 특수 감소와 반도체 공급 차질의 여파로 다소 부진할 것으로 전망했다.
다만 전기차 전환에 따른 수요가 증가하는 이차전지와 물동량 증가세가 지속되는 해운업은 호황 국면이 내년까지 이어질 것으로 예상했다.
부분별로 보면, IT산업군의 경우 반도체는 경기가 둔화될 전망이나 파운드리가 시장을 견인하며 10%대의 성장세와 높은 수익성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했다. 단 디스플레이는 LCD 가격 하락과 팬데믹 특수 소멸로 인해 생산·수출액 모두 감소하면서 부진할 것으로 봤다.
반도체·디스플레이를 담당하는 신석영 연구원은 “전장·전력용 반도체는 수급차질이 지속되며 품귀현상이 지속되겠으나 메모리는 수요 둔화와 설비 증설 영향으로 가격하락 압력이 커질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기계산업군내 자동차의 경우 친환경차 수요가 이어지겠으나 반도체 공급부족에 따른 생산차질 지속과 선진국의 회복 모멘텀 둔화로 인해 생산과 수출 모두 역성장할 것으로 예상했다.
조선은 LNG, 친환경 선박 중심으로 신조발주가 증가하고 고부가선박 수주량도 늘어나며 싸이클은 회복되고 있으나 저가수주물량 인도 등으로 인해 매출과 이익은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화학·정유, 철강 등 소재산업군은 제품가격 상승의 수혜가 사라지겠으나 전방 수요 개선으로 인해 양호한 성장세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했다.
안혜영 연구원은 “섬유, 의류 등 전방 수요가 늘어나겠으나 2022년 하반기부터 중국 등 아시아 신증설 물량이 공급될 예정으로 공급과잉 우려가 나올 가능성이 높다”고 언급했다.
한편 위드코로나 환경 전환으로 거리두기가 완화되고 소비심리도 개선되면서 내수·서비스업은 업황이 개선될 것으로 전망했다. 유통·음식료의 경우 외출 관련 품목소비가 늘면서 양호한 성장세를 보일 전망이다.
특히 음식료는 외식 수요확대에도 건강 및 웰빙기능식품 시장이 크게 성장할 것으로 보고서는 내다봤다.
건설업은 공공·민간주택 공급확대와 사회간접자본(SOC) 투자증가로 인해 수주 개선세가 이어질 전망이나 건자재 가격 상승에 따른 공정지연 및 수익성 악화에 주의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한편 연구소는 팬데믹 위기가 완화된다 해도 ▲공급망 교란 지속 ▲기후위기 대응 부담 ▲위드코로나 일상화에 따른 변화를 기업이 주목해야 할 키워드로 꼽았다.
김남훈 연구위원은 “코로나 시대에 억눌렸던 소비가 빠르게 회복될 수 있으나 공급차질로 인한 제조업의 생산차질 리스크가 남아 있고, 공급원가 상승에 따른 인플레이션 부담도 높아 기업의 경영관리 역량이 중요해질 것”으로 전망했다.
관련기사
- “학위 취득 후 취업보장”…LG엔솔, 연세대와 배터리 계약학과 개설
- SKC, 이차전지·반도체 사업 키운다…“모빌리티 소재기업 도약”
- 매출 100대 기업, 해외시장 의존도 커졌다
- 코로나가 견인한 구독서비스 수요, “편의성 증진 위한 소비 늘었다”
- 산업부, 추경 288억 확정…수출기업·조선업 인력양성 지원 확대
- 성장하는 전세계 SNS 광고시장, 한국서 인기있는 SNS 앱은?
- 코로나19 팬데믹, 기업체감경기 11년만에 꽁꽁 얼었다
- 코로나19 확산세, “자동차·반도체·휴대전화 산업 리스크 점검해야…”
- “韓日무역분쟁 확산 시 中만 이득, 전기·전자산업 경쟁력 약화될 수도”
- 신한은행, GS25와 ‘편의점 혁신점포’ 1호점 개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