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경련 분석, 아세안 2.6%p 증가, 한국 0.3%p 감소
전경련이 21일 미중 무역전쟁 이후 글로벌 교역구조 변화의 특징과 한국의 향후 통상정책과제를 분석한 결과 2018년 미중 무역분쟁의 혜택은 베트남 등 아세안 10개국이 누린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2020년 미국과 중국 수입시장에서 전체 수입이 2018년 대비 5.7% 감소한 가운데, 대아세안 수입은 20.3% 증가한 반면 한국으로부터의 수입은 전체 수입 감소율 보다 큰 10.6% 줄어든 것으로 분석됐다.
미중 무역전쟁이 발생한 2018년과 비교 시, 2020년 미국과 중국 수입시장에서의 아세안의 점유율은 2.6%p 증가한 반면 한국의 점유율은 0.3%p 감소했다.
올해 들어 아세안 10개국의 대미, 대중 수출은 확대되고 있다. 전경련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아세안의 대미, 대중 수출은 전년동기비 각각 24.9%, 38.1% 증가해 한국(대미 23.3% 증가, 대중 25.5% 증가)과 일본(대미 17.7% 증가, 대중 27.2% 증가)을 넘어섰다.
아세안 10개국 중 가장 수혜를 누리고 있는 국가는 베트남으로 분석됐다. 베트남은 미국 수입시장에서 2018년 12위 수입국에서 2021년 상반기 6위 수입국으로 올라섰다.
한편, 2020년 1월 1단계 미중 무역합의 결과로 올해 상반기 중국의 대미 수출은 26.7% 증가, 미국의 대중 수출은 55.0% 증가했다.
중국은 최대 수출국인 미국과 무역전쟁을 벌이며 2020년 대미 수출은 2018년 대비 5.3% 감소하고, 대미 수입은 2018년 대비 11.9% 줄어든 것으로 집계됐다.
그러나 중국은 수출선을 아세안·EU로 신속히 전환하고 지난해 코로나19로 미국, 유럽 등 선진국의 경제활동이 멈춘 영향 등으로 2020년 중국의 전체 수출은 2018년 대비 5.0% 증가했다.
지난해 코로나19로 미국, 유럽 등 선진국 경제·산업활동이 멈춘 기간 내 중국의 수출은 증가하면서 중국의 세계 수출시장 점유율은 2018년 12.7%에서 2020년 14.9%로 2.2%p 증가했다.
단, 전경련은 중국의 세계 수출시장에서의 지배력은 향후 하향세에 접어들 가능성도 전망했다. 4월 UNCTAD는 앞으로 중국 내 소비 증가 및 노동비용 상승, 선진국 기업의 중국 내 생산시설 자국 유턴 및 아세안 시프트로 세계교역에서 중국의 지배력은 줄어들 것으로 예상했다.
한편 미국은 중국과의 무역전쟁을 통해 대중 무역적자를 2018년 4,176억달러에서 2020년 3,108억달러로 줄이는 데 성공했다. 허나 지난해 코로나19로 수출이 경제봉쇄 조치로 전년비 13.0% 감소하면서 연간 무역적자는 9,050억달러로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김봉만 전경련 국제협력실장은 “2018년 미-중 무역전쟁 이후 글로벌 공급망의 아세안 시프트가 진행되면서 아세안 지역의 중요성이 매우 높아졌다”고 지적하며 “6월29일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의결한 한-인니 포괄적 경제동반자 협정(CEPA)에 대한 조속한 비준·발효가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관련기사
- “북유럽, 탄소중립(넷제로) 준비 갖춘 지역…1위는 노르웨이”
- 4개 키워드로 본 ‘위드 코로나’…“방역체제 전환, 경제회복 기대감”
- 15년간 전세계 혁신기업은 167개, 한국기업은 4개사 불과
- 화이트바이오 산업 뜨는데…전경련, “한국, 미국과 기술격차 3년”
- 글로벌 CEO 절반 이상, “3년 내 세계경제 회복 전망”
- “코스피200 감사위, 장기 재직자 줄고 여성 위원은 늘었다”
- “e커머스·배달서비스 등 신성장 스타트업 가치평가 방식 변해야…”
- 건설업계에 부는 DT 프로젝트 바람…“선도 기업들, 기술투자 크게 늘었다”
- [포토] ‘착한소비’에 동참하세요…‘U+로드 온라인장터’ 27일 오픈
- 12개월 수출 증가 기록…반도체 수출, 6개월 연속 100억 달러 돌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