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유플러스가 LG전자, 뇌 질환 디지털 치료 전문기업 로완과 시니어 대상 디지털 헬스케어 사업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으로 3사는 비대면, 초고령화 사회에 맞춰 경도인지장애 및 초기 치매 환자를 대상으로 치매 예방·관리를 위한 디지털 콘텐츠 및 솔루션 사업 협력을 추진하기로 했다.
로완은 국내 최고 신경과 전문 의료연구팀과 함께 디지털 종합 치매예방 프로그램 ‘슈퍼브레인’을 개발했다. 혈관위험 인자관리, 인지학습, 운동, 영양교육, 동기강화 등 다섯가지 영역에서의 다중인지 중재 효과를 입증하고 현재 50여개의 치매안심센터, 복지관 및 병의원에 서비스 중이다.
협약의 주요 추진 과제로는 ▲슈퍼브레인 기반의 디지털 치매 예방·관리 솔루션 개발 및 공급 ▲B2G/B2B/B2C 등 각 시장에 적합한 편의 디바이스 발굴 ▲고객 라이프로그(Lifelog) 데이터를 활용한 서비스 고도화 ▲방송·통신 데이터 연계한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개발이며 추후 구체화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우선 LG전자가 최근 출시한 ‘원퀵(One:Quick)’ 디바이스에 슈퍼브레인 기반의 치매 예방 및 관리 솔루션을 탑재하고 서울시 소재 치매안심센터와 데이케어센터를 대상으로 사업화 검증에 나선다.
원퀵은 4K UHD 해상도 스크린, 카메라, 마이크, 스피커, 전자칠판 등을 탑재한 다목적 스크린으로, 화상회의와 운동 등 회사나 집에서 필요로 하는 올인원 솔루션을 제공한다. 이를 통한 사업화 검증과 함께 LG유플러스는 자사 모바일·홈 서비스 고객을 대상으로 치매예방관리 서비스를 확대 적용할 예정이다.
로완 한승현 대표는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LG전자의 글로벌 마케팅 및 LG유플러스의 다양한 채널을 통해 더 넓고 다양한 장소에서 로완의 디지털 치료 콘텐츠가 활용될 수 있을 것 같아 기대가 크다”고 말했다.
LG전자 ID사업부장 백기문 전무는 “다양한 비즈니스 현장뿐 아니라 고객 일상의 효율까지 높여주는 원퀵 솔루션을 앞세워 시니어를 비롯한 다양한 고객들에게 차별화된 경험을 제공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LG유플러스 CSO 박종욱 전무는 “LG유플러스의 정보통신기술력 및 가입자 기반으로 디지털 시니어 케어 분야, 특히 치매에 대한 우려로 걱정이 많으신 시니어를 대상으로 고객 가치를 창출할 수 있도록 적극 협력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 KT·한국건강증진개발원, 디지털 헬스케어 환경 조성 MOU 체결
- 에이프리카, 서울바이오허브에 인공지능(AI) 개발 인프라 구축
- LG CNS, 마이데이터 사업 본격화…GC녹십자헬스케어·LGU+와 사업제휴
- 루닛, ‘유럽종양학회(ESMO 2021)’서 연구 초록 3편 발표
- LGU+, 헬스케어 신사업 확장…휴레이포지티브와 MOU
- B2G, 아부다비 투자진흥청과 MOU…혁신기업 중동진출 지원 강화
- LGU+, UNIST와 맞손…스마트 헬스케어 솔루션 공동개발·발굴
- 이노그리드·딥노이드, 스마트 AI의료 클라우드 사업 협력 MOU
- KT·강남세브란스, 5G 기반 ‘모바일 병원 협진 시스템’ 구축 MOU
- 한경연, “한국 유자녀·독신가구 간 세제혜택 OECD 평균치 하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