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판교 간 코렌망 연동·시연

ETRI 연구진이 대역폭 제어를 통해 긴급대피 영상을 우선송출하는 모습 [사진=ETRI]
ETRI 연구진이 대역폭 제어를 통해 긴급대피 영상을 우선송출하는 모습 [사진=ETRI]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이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수탁연구과제를 통해 인공지능(AI) 기반 지능형 엣지 네트워킹 핵심기술 개발에 성공했다고 3일 밝혔다. 전국망 규모의 초연결 지능형 연구개발망(코렌/KOREN)과 연동, 4개 응용서비스와 연계한 시연 및 기술검증도 완료했다.

ETRI가 개발한 지능형 엣지 네트워킹 플랫폼은 AI기술과 네트워크 기술을 결합한 차세대 네트워킹 기술이다. 

얼굴인식, 상황인지 AI기술을 통해 사용자 주변정보를 자동 인식하고 사용자와 가까운 위치(엣지)에서 신속하고 안전하게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플랫폼 안에 설계된 이벤트커넥터 기술이 서비스 구현의 핵심기술이라고 연구진은 전했다. 

AI와 네트워크의 연결고리 역할을 하는 기술로 AI가 관찰·수집한 데이터를 적절하게 분산처리해 네트워크에 전송한다. 사람이나 사물과 가까운 서버를 활용해 빠르고 안전하며 효율적인 통신과 연산이 가능하다는 게 연구진의 설명이다.

ETRI는 대전-판교 간 코렌망과 연동해 ▲상황인지 기반 영상정보 전송경로 제어 서비스 ▲상황인지 기반 지능형 보안 네트워킹 서비스 ▲상황인지 기반 네트워크 대역폭 제어 서비스 ▲상황인지 기반 맞춤형 응용서비스 등 총 4개 서비스에 대한 기술검증을 완료했다.

상황인지 기반 영상정보 전송경로 제어 서비스는 화재, 침입 등 비상상황을 AI가 인식해 자동으로 영상을 중앙 관제센터에 전송하는 서비스다. 

상황인지 기반 지능형 보안 네트워킹 서비스는 사용자 맞춤형으로 안전하게 사설 네트워크에 자동연결해주는 서비스다. 상황인지 기반 네트워크 대역폭 제어 서비스는 긴급상황 발생 시 활용도가 높은 서비스다. 

연구진은 플랫폼을 구축하기 위해 다계층 분산 협력적 AI기술을 포함해 ▲분산자원 자율관리·마이크로서비스 구성기술 ▲지능형 SD-WAN 엣지 패브릭 기술 등을 집적했다고 설명했다.

ETRI 김선미 네트워크연구본부장은 “지능형 엣지 기술과 네트워킹 기술의 만남으로 특정 상황에 대처해 정보를 필요한 곳에 신속하게 전달하고 대응할 수 있어 새로운 비즈니스 창출이 용이하다. 특히 뉴노멀 시대에 새로운 경험을 제공하기 위한 핵심기술로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ITBiz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