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클라우드가 P2P 기업을 대상으로 한 온라인투자연계금융업법(온투법) 심사 준비 지원에 나선 결과 올해 총 10개 기업이 온투법 기업 인증을 완료했다고 19일 밝혔다.
금융당국은 P2P금융 제도화로 이용자를 보호하기 위해 지난해 8월부터 P2P기업을 대상으로 보안 규정, 인프라 구성, 자기자본금 등의 심사 요건을 담은 온투법을 시행했다. 네이버클라우드는 지난해 말 자사 금융 클라우드 인프라 및 온투법 대응 경험을 바탕으로 ‘온투법 프로모션’을 진행해 왔다.
이 프로모션은 온투법 프로그램 참여 확정 기업을 대상으로 네이버클라우드플랫폼(NCP)을 사용할 수 있는 500만원 상당의 크레딧 지급을 포함해 인프라 컨설팅 및 초기구축 혜택, 온투법 대응 컨설팅 등이 포함됐다.
네이버클라우드에 따르면 이를 통해 올해 총 10개 기업(와이펀드/비에프펀드/레드로켓/펀딩119/리딩플러스/오아시스펀딩/론포인트/브이펀딩/프로핏/에프엠펀딩)이 온투법 기업 인증을 완료했다.
P2P기업이 금융 분야 인프라를 구축할 때 CSP를 통한 퍼블릭클라우드를 활용하면 프라이빗 인프라 대비 초기 인프라 구축에 들어가는 비용을 절감하고 사업역량 개발에 집중할 수 있다. 클라우드 상에서의 지속적인 확장성과 안정적인 보안성, 데이터 분석기술을 활용해 보다 경쟁력 있고 효율적인 사업 역량 개발도 가능하다.
와이펀드 이유강 대표는 “와이펀드가 제도권 금융사로 자리매김하는 데 있어 네이버클라우드의 물적 보안설비가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네이버클라우드의 금융 클라우드 인프라가 온투업 업계 전반의 신뢰성 제고에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네이버클라우드 이화영 커머셜 세일즈 이사는 “네이버클라우드의 특화된 금융 클라우드 인프라를 바탕으로 투자자가 믿고 신뢰할 수 있는 투자 환경을 구축할 수 있도록 지원했다”며 “탄탄한 인프라를 바탕으로 비즈니스 역량을 적극 개발할 수 있도록 지원을 강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 GCP, 클라우드 전환 위한 혁신 기술·비전 공개
- 이노그리드, 대전에 중부지사 개소…공공사업 확대 ‘잰걸음’
- LGU+, 국내 최초 클라우드 백본 장비 실증…유연성·안정성 확보
- 네이버클라우드, RPA SaaS 출시… “하이퍼오토메이션 시대 이끈다”
- 네이버클라우드, 부천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 성공 돕는다
- 큐브리드, ‘파스-타(PaaS-TA)’ 서비스 호환성 검증 레벨 2 획득
- 잡음 없었던 18~49세 백신예약 시스템, “클라우드가 해법이었다”
- 정부 공공시스템, 클라우드로 전면 전환…‘기회의 땅’ 열린다
- 우리금융그룹, 자회사 협업 시너지 강화…연말 ‘우리WON카’ 론칭
- 신한카드, 1천억 규모 ESG채권 발행…친환경차 구매 금융 지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