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어망-기지국 등 모든 인프라에 클라우드 환경 전환 가속화
LG유플러스가 이스라엘 기업 ‘드라이브넷’과 클라우드 유선 백본 패킷 전달 장비의 실증에 성공했다고 18일 밝혔다. 드라이브넷의 클라우드 유선 백본 패킷 전달 장비는 범용 서버와 범용 스위치에 컨테이너 기반 소프트웨어(SW)를 탑재한 가상화 장비다.
컨테이너는 소형의 독립 운영체제(OS)로 기타 IT장비와 동일하게 통신 인프라도 클라우드 환경에 최적화된 모습으로 진화하고 있다. 이미 아마존(AWS), 구글, 마이크로소프트(MS) 등의 IT업계에서는 클라우드 인프라에 컨테이너 개념을 도입해 사용하고 있다.
최근 스마트팩토리, 가상/증강현실(AR/VR), 클라우드 게임, 자율주행차, 로봇 등 혁신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5G 네트워크의 서비스 민첩성, 확장성, 자원 효율성, 안정적인 운영이 요구되고 있어, 컨테이너는 클라우드 환경에 필요한 차세대 5G의 핵심요소로 평가받고 있다.
통신사는 컨테이너 기술이 적용된 통신장비를 활용해 트래픽 증가 시 유연하게 장비의 성능과 용량을 확장하고 균일한 최적의 품질을 제공할 수 있다. 운영 중에도 고장 조치, 애플리케이션 배포 등의 운영업무를 자동화해 안정성도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헤비리딩의 조사에 따르면 35%의 통신사업자들은 이미 클라우드 중심 또는 세분화 구조를 도입하고 있으며 50% 이상은 향후 5년 이내 도입할 계획이라고 답했다.
LG유플러스는 기지국-유선망-코어망까지 전체 네트워크 인프라를 클라우드로 전환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 앞서 8월에는 AWS 클라우드에 5G 코어장비와 MEC 서비스를 동시에 수용하는 실증을 완료한 바 있다.
개방형 네트워크 관련 국제기구인 ‘텔레콤인프라프로젝트(Telecom Infra Project)’에 참여해 관련 기술 개발의 국제협력도 확대할 예정이다.
이상헌 LG유플러스 NW선행개발담당은 “차세대 네트워크 클라우드 핵심기술인 컨테이너 기술을 통해 트래픽이 증가하거나 고장 시에도 서비스 중단 없이 최적의 품질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며 “미래 네트워크 클라우드 기술을 선제적으로 확보해 고객경험 제고를 위한 노력을 이어가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LGU+, LS그룹 차세대 네트워크 인프라에 ‘U+ SD WAN’ 적용
- LGU+, DW 기반 ‘환경·안전·보건 관리 통합플랫폼’ 사업 시동
- U+tv, OTT서비스 ‘디즈니+’ 통합 IPTV 서비스 론칭
- “손톱보다 작다…”LGU+, 세계 최초 PUF 적용한 eSIM 개발
- KT, 수도권 IDC 백본망 10배 증설…“테라급 네트워크로 동맥 넓혔다”
- 정부부처 개별통신망 통합 ‘국가융합망’ 본격 개통
- “인공지능(AI) 인프라, 이제 빌려쓴다”…KT, ‘하이퍼스케일’ AI 서비스 출시
- 주니퍼네트웍스, 경성대 스마트캠퍼스 구축 프로젝트 완료
- 네이버클라우드, P2P기업 온투법 인증심사 지원…10개사 인증 완료
- 테크메이커, 독자개발 실내 5G 중계기 유럽서 상용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