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르딕세미컨덕터가 국내 의료기기 업체인 이오플로우가 개발한 헬스케어 애플리케이션에 nRF52832 시스템온칩(SoC)을 공급했다고 밝혔다.
이오플로우가 개발한 인슐린 관리 시스템(이오패치)은 49.5 x 39 x 14.5mm, 29.4g(인슐린 제외), IPX8 방수설계의 주입선이 없는 튜브리스 웨어러블 일회용 인슐린 펌프다.
인슐린 주사 대신 몸에 부착해 전용 컨트롤러나 앱으로 인슐린 주입과 혈당을 모니터링하는 체외형 인슐린 주입기다.
이오패치는 소프트 캐뉼라를 통해 피부 아래로 인슐린을 지속 전달해 기저 인슐린 및 주기적 볼루스 인슐린 주입이 필요한 당뇨인의 혈당 수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해준다.
패치는 최대 200U(2ml)의 인슐린을 저장할 수 있으며 패치가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최소 80U의 인슐린이 필요하다.
환자는 이오패치에 인슐린을 채우고, 몸에 부착하여 이를 활성화 후 ADM(Advanced Diabetes Manager)이나 블루투스4.2을 지원하는 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나르샤’ 안드로이드 앱을 이용해 패치에서 인슐린 주입량을 제어할 수 있다.
이오패치는 노르딕 SoC의 블루투스LE 연결 기능을 통해 통신한다. 사용자는 컨트롤러의 기능을 이용해 현재 사용자의 혈당 수치와 IOB(Insulin on Board), 탄수화물 섭취량 및 기타 사용자 맞춤형으로 프로그램한 설정을 기반으로 필요한 기저 또는 볼루스 인슐린의 적절한 양을 계산할 수 있다.
이오플로우의 소프트웨어 개발본부 박경호 본부장은 “이오패치는 하드웨어 기능에서 초저전력 특성이 중요해 노르딕의 nRF52832 SoC를 채택했다. 소프트웨어 기능에서는 노르딕 nRF SDK와 보안 OTA-DFU 기능이 핵심”이라며 “노르딕 개발자포럼(DevZone)을 통한 빠른 대응은 제품 개발 과정에서 도움이 됐다”고 밝혔다.
nRF52832는 2.4GHz 무선에서 5.5mA의 피크 RX/TX 전류와 노르딕 nRF51 시리즈 SoC 대비 최대 80%까지 전력소모를 절감할 수 있는 저전력 무선 SoC다.
부동소수점장치(FPU)를 갖춘 64MHz, 32bit ARM 코어텍스(Cortex)-M4 프로세서와 100dBm의 링크 버짓을 위한 4dBm의 출력 파워와 -96dBm의 RX 수신감도를 지원하는 2.4GHz 멀티 프로토콜 무선을 비롯해 256/512kB 플래시 메모리와 32/64kB RAM을 내장하고 있다.
nRF 커넥트 SDK(Connect SDK)는 제퍼(Zephyr) RTOS를 통합하고 있으며 블루투스LE, 블루투스 메시, 스레드를 이용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한다.
관련기사
- 노르딕세미컨덕터, 비주얼스튜디오(VC) 코드용 ‘nRF 커넥트’ 확장팩 공개
- IoT 시대와 코로나 이후의 세계, “기술이 바로 해답이다”
- 마우저, 인텔 애질렉스 F-시리즈 FPGA 개발키트 유통 개시
- ST마이크로, 비대칭 토폴리지 최적화 ‘MasterGaN2’ 발표
- 네패스, SiP 공정 경쟁력 강화…엔드팹 솔루션 로드맵 공개
- 노르딕, 애브넷 초소형 통신모듈 ‘AVT9152’에 SoC/SiP 공급
- 노르딕, ‘CES 2022’ 참전…스마트홈 기술표준 ‘매터’ 애플리케이션 시연
- KT·가톨릭중앙의료원, 디지털치료기기 시장 공략 ‘맞손’…MOU 체결
- 노르딕, 노키아와 IoT 표준 필수특허 라이선스 간소화 협력
- 노르딕, DECT포럼 정회원 합류…DECT NR+ 기반 SiP 상용화 채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