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린 왼쪽부터) 사회자(Nathan De Ruiter), 야샛 CTO(Adnan Al Muhaili), 히스파샛 CEO(Miguel Angel Paduro), 터크샛 CEO(Hasan Huseyin Ertok), KT SAT CEO (송경민) [사진=KT]
(스크린 왼쪽부터) 사회자(Nathan De Ruiter), 야샛 CTO(Adnan Al Muhaili), 히스파샛 CEO(Miguel Angel Paduro), 터크샛 CEO(Hasan Huseyin Ertok), KT SAT CEO (송경민) [사진=KT]

KT SAT가 전세계 위성사업자의 95%가 참여하는 ‘유로컨설트 WSBW(World Satellite Business Week) 2021’ 행사에서 저궤도 위성사업(LEO)을 위한 해외 지역사업자 간 ‘LEO 얼라이언스(동맹)’ 결성을 통한 사업 경쟁력 강화방안을 제안했다고 15일 밝혔다.

KT SAT 송경민 사장은 이달 13일 파리에서 열린 유로컨설트 WSBW 2021에서 ‘앞으로 지역 위성사업자는 변화된 시장 환경에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 주제로 열린 온라인 패널토론에 참석해 저궤도 위성사업에 참여할 것을 밝혔다

송 사장은 “KT SAT도 위성사업 경쟁력의 기본 조건인 충분한 위성용량(Capacity) 확보를 위해 HTS 위성뿐 아니라 저궤도 위성사업에도 참여할 예정”이라며 “경제성, 신속한 시장 진입 등을 고려했을 때 우리 지역사업자들이 함께 얼라이언스를 구축하여 공동으로 저궤도 위성사업에 도전하는 것을 제안하고 싶다”고 밝혔다. 

상대적으로 규모가 작은 지역사업자들이 스페이스X, 아마존 등 글로벌 사업자와 경쟁하려면 저궤도를 포함한 다양한 서비스 포트폴리오를 통해 다중 궤도(Multi-Orbit) 위성 통신을 제공해야 한다는 것이 그 이유다. 

KT SAT은 저궤도 군집위성 설계를 포함해 주파수 및 궤도 사용을 위한 국제전기통신연합(ITU) 파일링을 완료한 상태다.

저궤도 위성은 기존 정지궤도 위성 대비 고출력, 저지연 통신을 특징으로 하고 있어 6G 등에 활용 가능한 차세대 이동통신 기술로서 주목 받고 있으며 글로벌 대형 IT기업을 포함한 다수 위성사업자가 관련 사업에 뛰어들고 있다.

다만 게이트웨이, ISL(Inter Satellite Link) 등 해결해야 할 기술적 이슈도 많아 저궤도와 정지궤도 위성사업자 간에 전략적 협력관계(Frenemy)가 필요하다는 것이 KT SAT의 설명이다.

KT SAT은 이날 KT그룹이 독자 개발한 하이브리드 솔루션에 대해서도 소개했다. 하이브리드 솔루션은 저궤도, 정지궤도, 5G 등 다수 네트워크를 하나로 통합해 끊김 없는 통신을 구현하는 기술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ITBiz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