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유플러스가 6G 통신의 핵심 안테나 기술인 ‘재구성가능한 지능형 표면(RIS)’ 기술검증을 진행한다고 15일 밝혔다.
6G는 테라헤르츠(THz)파 대역을 사용하게 될 것으로 전망된다. 테라헤르츠파는 가용 대역폭이 넓어 초당 테라비트(Tbps)의 데이터 전송속도를 낼 수 있으나, 파장의 길이가 짧아 전파가 도달하는 거리에 장애물이 있는 환경(NLoS)이나 실외 기지국에서 실내로 들어오는 상황(O2I)에서 손실이 발생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주목받는 기술이 RIS다. RIS는 안테나 표면의 전자기적 특성을 이용해 기지국에서 나온 전파가 이용자에게 전달하는 6G의 요소기술 중 하나로, 전파의 특성에 맞게 전달력을 조절하는 ‘지능형 거울’에 비유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하면 외부의 신호를 건물 안으로 전달되는 기지국 신호의 투과효과를 제공할 수 있고, NLoS 환경의 반사효과를 제공해 음영지역에 대한 커버리지를 개선할 수 있다는 게 LG유플러스의 설명이다.
일본의 이동통신사 NTT도코모는 지난해 RIS를 활용한 실내 커버리지 개선방안을 발표한 바 있다.
LG유플러스는 지난해부터 노키아, 크리모, 동우화인켐과 6G RIS 기술 협력을 진행해오고 있으며 올해 초부터 실험실과 5G 필드환경에서 RIS를 검증하고 있다.
우선 1단계로 3.5GHz 대역과 28GHz 대역에서 검증 중이며 향후 RIS를 테라헤르츠 대역에 적용해 6G에서 RIS 적용 시 발생가능한 효과도 검증할 예정이다.
이상헌 LG유플러스 NW선행개발담당은 “RIS가 실제 통신환경에서 사용 가능하다는 게 검증된다면 다가올 6G 시대는 물론 5G 품질개선에도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며 “네트워크 장비의 클라우드화 등 차세대 네트워크 기술을 실제 통신환경에서 검증하고, 궁극적으로 고객의 체감품질을 개선할 수 있도록 노력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키사이트, 삼성리서치와 6G R&D 고도화…AI 무선 인터페이스 개발 협력
- 5G 스마트폰 데이터 트래픽, LTE 사용자 대비 약 2배
- XR얼라이언스, ISS 실사 촬영한 우주 VR콘텐츠 신규 공개
- LGU+, B2B 무선 신사업 아이디어 공모전 기업과 MOU…상용화 협업
- 키사이트, LG전자와 6G 송수신 기술 공동시연
- ‘6G·위성·IoT 아우른다’…과기정통부, 차세대 네트워크 발전전략 추진
- KT·노키아, 30km 장거리 프론트홀 상용망 검증
- 드림텍, 美 믹스컴과 MOU…5G RF 안테나 모듈 대량 생산
- 퀄컴, 최대 7GHz 주파수 지원 ‘ultraBAW’ RF 필터 기술 공개
- ETRI, 5G 광통신 핵심부품 31종 개발…사업화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