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이 5G 이동통신 네트워크 광통신 핵심부품 31종을 개발했다고 22일 밝혔다. 오이솔루션 등 국내 중소기업 9개사와 함께 핵심부품을 개발하면서 국내 5G 산업 경쟁력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ETRI에 따르면, 31종 개발부품 중 21종에 대한 사업화에 성공해 현재까지 약 57억원의 매출을 달성했고 87명의 고용창출도 이뤄냈다. ETRI는 향후 국내외 5G 서비스 확산에 따라 2025년까지 약 1,000억원의 매출 창출 효과를 기대했다.
이번에 개발한 기술은 주로 5G 안테나와 광중계기 장비 간 데이터를 주고받는 프론트홀용 제품에 특화된 부품이다. 화합물 반도체 공정을 기반으로 하는 25Gbps급 고속 광원·수광소자 등 대외 기술의존도가 높은 부품은 물론 광 트랜시버 등 완제품까지 개발됐다.
특히 기존 10Gbps급의 4G LTE용 제품 대비 채널당 25Gbps급의 고속 데이터 전송 속도를 가질 뿐만 아니라 55℃ 고온에서도 동작할 수 있는 특성도 갖췄다. 대외의존도가 높았던 25Gbps급 광소자는 엘디스, 오이솔루션 등 참여 기업의 노력으로 국내 자급은 물론 중국 진출도 조만간 가시화될 전망이다.
ETRI가 보유한 광통신 관련 핵심부품 원천기술과 ETRI 광패키징기술지원센터(OPAC)의 시설·장비 인프라 활용해 중소기업의 연구개발 투자부담을 덜어주면서 광통신 부품 개발과 상용화 성공률을 높일 수 있었다고 연구진은 설명했다.
ETRI 이길행 호남권연구센터장은 “광통신 부품 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연구개발에서 기술사업화에 이르기까지 실질적으로 도움을 줄 수 있는 밀착형 기술지원 서비스가 절실하다. 앞으로도 중소기업의 경쟁력 확보를 위해 지원 분야와 인프라를 고도화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엘디스의 조호성 대표도 “25Gbps급 광소자 등 5G 광통신 부품의 개발과 상용화는 대일 의존도를 극복하고 우리나라 소재·부품·장비 산업 경쟁력을 강화했다는 증거다. ETRI의 전방위적인 밀착 기술지원 서비스가 사업화 성공에 큰 도움이 됐다”고 밝혔다.
한편 ETRI는 그간의 연구개발 성과와 인프라를 활용, 이번 사업화에 성공한 21종의 제품을 포함해 사업화를 추진 중인 10여종의 개발 제품에 대해서도 기술지원을 이어나갈 계획이다.
이를 위해 향후 ETRI 광패키징기술지원센터(OPAC)의 공동활용 장비와 인프라를 고도화하고 관련 사업을 발굴하는 등 중소기업 지원에 노력할 예정이다.
관련기사
- 이제는 5G 시대…1월 전세계 5G 스마트폰 보급률, 50% 돌파
- ETRI, 지난해 국제표준특허 85건 확보…ICT 표준화 활동 가속화
- LGU+, 6G 안테나 기술 ‘RIS’ 기능 검증…상반기 실험실·필드 검증 돌입
- 5G 스마트폰 데이터 트래픽, LTE 사용자 대비 약 2배
- ETRI, 물방울 형광 리더기 개발…디지털 PCR 보급 촉진 기대
- ETRI·KAIST, 미래기술 선점 ‘맞손’…신성장 동력확보 일환 공동연구
- ETRI, 레이더 센서 기반 재난현장 인명탐지 시스템 개발
- ETRI 김형준 소장, ITU IoT·스마트시티 연구반 의장 선임
- ETRI, 1만km 원거리 연결한 스마트공장 ‘실시간 제어’ 성공
- 테크윙, 주주 편의성 제고 일환 배당금 조회 온라인 서비스 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