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클라우드가 1일 공식 출범했다. 초대 대표이사로 KT 클라우드·IDC사업추진실장 윤동식 부사장이 취임했다.
KT는 클라우드·IDC사업을 현물출자 방식으로 분리해 강남, 여의도 등 주요 IDC를 포함한 클라우드·IDC사업 분야 자산을 KT클라우드로 포괄적으로 출자했다. 지분은 KT가 100% 보유하게 된다.
KT클라우드는 1일 KT목동IDC에서 온오프라인으로 소속 임직원들과 새로운 출발을 축하하는 출범 선포식을 가졌다. 윤동식 대표는 이날 현장에서 “임직원 모두가 KT클라우드의 주인으로 새로운 미래를 함께 만들어가자”고 당부를 전했다.
KT클라우드는 2026년까지 매출 2조원 규모의 국내 최고 DX 전문회사가 되겠다는 목표를 내걸었다. 8천억원 규모의 공공 클라우드 전환사업에 집중해 맞춤형 서비스를 강화하고 공공분야 전담 사업체계도 구축, DX 분야 국내 선도 사업자 지위를 공고히 다진다는 목표다.
인공지능(AI) 클라우드 경쟁력 확보를 위한 AI클라우드에 집중한다. 지난해 말 출시한 하이퍼스케일 AI컴퓨팅(HAC) 서비스를 기반으로 AI인프라에 집중 투자하고 AI플랫폼과 서비스 영역까지 사업을 확대한다.
초대규모 GPU 팜과 전용 AI칩 개발을 통해 하드웨어/소프트웨어를 동시에 제공하는 ‘AI 풀스택 사업자’가 목표다. 급증하는 데이터센터 수요 대응을 위해 자산운용사 등과 협력하고 2024년까지 대규모 IDC 공급에 집중할 계획이다.
첫 수장으로 선임된 윤동식 대표는 KT가 클라우드 사업을 시작할 때 합류한 원년멤버로 KT 클라우드 사업의 기틀을 마련했다는 평가다.
윤동식 대표는 “독립법인으로서 새롭게 태어난 KT클라우드는 급변하는 시장 환경에 기민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유연한 조직체계를 갖추고 사업 성장을 위한 적극적인 투자와 제휴, 협력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 효성인포메이션, UCP RS 업그레이드…클라우드네이티브 강화
- LGU+, 고객 인사이트 분석 툴 ‘데이터플러스’ 론칭
- 알리바바, 한국 데이터센터 공식 개소…“백도어 등 中 리스크는 도전과제”
- 디지털 접근성 최고수준인 한국, 기업 DT역량은 하위권…이유는?
- “올해 국내 인공지능(AI) 시장 매출규모 1조원 육박”
- 노코드 플랫폼(No-code Platform)으로 디지털혁신(DT)을 가속화하라 ②
- 황현식 LGU+ 사장, “핵심기술 내재화로 신사업 박차, 의미있는 성과 낼 것”
- KT, 클라우드·IDC 전문기업 ‘KT클라우드’ 설립한다
- KT, 동유럽 텔코 MTS와 사업협력…러시아 시장 공략 드라이브
- 안산 한양대 카카오 데이터센터 착공식…2023년 완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