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이 ETRI 오픈소스 R&D 플랫폼 2.0을 구축하고 본격적인 운영을 시작한다고 10일 밝혔다. 이 플랫폼은 ▲오픈소스 R&D 포털 ▲오픈소스 컴플라이언스 시스템 ▲오픈소스 개방형 R&D 플랫폼 ▲ETRI 오픈소스 공개사이트 등으로 구성돼 R&D 전 주기에 걸친 개방형 협업을 지원하도록 구성됐다.
ETRI는 전방위적인 오픈소스 거버넌스 대응을 위해 연구활동규정 마련 등을 포함한 오픈소스 개방형 R&D 플랫폼 구축을 2019년부터 본격적으로 추진, 2020년 개방형 R&D 플랫폼 1.0을 선보였다.
이번에 공개한 2.0 플랫폼은 원내 오픈소스 기반 개방형 R&D 활동을 위한 기반 구축·운영을 넘어 컴플라이언스 자동화, 개방형 협력 개발환경 등 지원 영역을 더욱 넓혔다는 게 ETRI의 설명이다.
ETRI는 앞서 2021년 오픈소스 컴플라이언스 국제표준(오픈체인, ISO/IEC5230) 준수기관 자격을 획득해 국제적으로 신뢰성 있고 효율적인 오픈소스 기관으로 인정받았다.
외부와 공유 촉진, 개방형 협업이라는 새로운 연구문화 보급 목적으로 ‘ETRI 오픈소스 테크데이’ 행사 등 오픈소스 R&D 활동도 전개하고 있다. ETRI는 이번 플랫폼 2.0 개발으 계기로 타 출연연과의 협력문화 조성과 연구결과 외 확산 등을 본격화할 계획이다.
ETRI 이승윤 오픈소스센터장은 “ETRI의 오픈소스 거버넌스 대응체계 관련 지식과 경험을 다른 출연연구기관과 산업체, 학계와 커뮤니티 등과 협력해 공유해 나갈 것”이라며 “국내 오픈소스 역량 강화와 개방형 연구문화 조성에 초석이 되며, 나아가 국내 소프트웨어 산업 경쟁력 제고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ETRI 김명준 원장도 “오픈소스는 기존 연구개발 문화의 개방형 혁신을 실현하는 핵심 역량이자, 우리가 지향해야 하는 가치를 품고 있다”고 전했다.
연구진은 향후 오픈소스 기반 개방형 R&D 혁신 플랫폼으로 개방형 연구문화 보급과 연구성과 극대화 실현을 위한 ETRI 오픈소스 거버넌스 고도화 및 개방형 R&D 활동을 지속적으로 지원할 예정이다.
관련기사
- 소프트웨어 구성분석(SCA)을 통해 오픈소스(OSS) 위험성을 관리하는 방법 ①
- ETRI, 양자내성암호 공략 양자 알고리즘 개발
- ETRI·TTA, 메타버스 융합표준 지침 개발 착수
- 구글클라우드, 정형/비정형 데이터 통합관리 ‘빅레이크’ 발표
- 한국후지쯔, 쿠버네티스용 ‘후지쯔 엔터프라이즈 포스트그레’ 출시
- ETRI, ‘AI표준전문연구실’ 가동…기술 국제표준화 주도
- 카카오브레인, 이미지 생성모델 ‘RQ-Transformer’ 오픈소스로 공개
- 아크로니스, 마리아DB로 클라우드 데이터 보호 확장
- 소프트웨어 구성분석(SCA)을 통해 오픈소스(OSS) 위험성을 관리하는 방법 ③
- ETRI, 중·고교생에 ‘사랑의 장학금’ 전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