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자암호통신장치 기술이전 조인식에 참석한 KIST와 에스디티 관계자들이 단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KIST]
양자암호통신장치 기술이전 조인식에 참석한 KIST와 에스디티 관계자들이 단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KIST]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과 SDT주식회사가 31일 KIST 서울 본원에서 ‘양자암호통신장치 기술’에 대한 기술이전 및 사업화 협력을 위한 조인식을 가졌다.

양자역학 기반의 양자암호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뤄지고 있는 현재, 전세계적으로 제품의 실제 환경 테스트베드 운용과 함께 관련 표준 및 제도를 정비하는 등 상용화를 위한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

KIST는 양자암호통신을 위한 네트워크 시스템을 개발하고 실제 포설된 광케이블 망에서 양자암호시스템으로 1x4 통신을 하는데 성공한 바 있다. 지난해에는 통신사 컨소시엄에 참여해 기존 암호통신 시스템과 연결이 가능한 양자암호통신시스템을 개발하고 성능을 검증했다. 

양자정보연구단 한상욱 단장팀에서 이번에 기술이전한 양자암호통신장치는 국내 최초로 하나의 수신부 서버에 다수의 송신부 시스템이 연결된 1xN(일대다) 통신이 가능한 양자암호통신시스템이다. 

이 시스템은 개발 비용의 큰 부분을 차지하는 단일광자 검출기, 양자광원 모듈 등을 단일 서버로 구현하고 상대적으로 저비용으로 구축이 가능한 부품으로 사용자 송신부 시스템을 구축하면서 전체 비용을 크게 낮출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상욱 단장은 “개발한 기술을 활용해 보안 통신이 중요한 중앙관제 시스템, 여러 하위부대와 연결이 필요한 군 통신, 다수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이터 서버 보안 통신 등의 분야에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SDT주식회사는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시스템온모듈(SoM) 개발부터 엣지 디바이스 에코시스템과 IoT 센서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클라우드 서비스를 관련 시장에 공급하고 있다.

이번 계약을 통해 해킹할 수 없는 보안으로 디바이스-클라우드 간 통신을 보호하면서 관련 제품·서비스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KIST 윤석진 원장은 “이번 조인식을 통해서 세계 최고수준의 양자암호통신장치를 국내에서 성공적으로 상용화하고 우리나라가 양자암호통신 강국으로 자리매김 하도록 기업과 긴밀히 협력해 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SDT주식회사 윤지원 대표는 “KIST의 양자암호장치 기술이전을 통해 국내 디지털혁신(DT) 솔루션 시장에서의 선두주자가 되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ITBiz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