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왼쪽부터) 켐코 최내현 대표, LG화학 신학철 부회장 [사진=LG화학]
(왼쪽부터) 켐코 최내현 대표, LG화학 신학철 부회장 [사진=LG화학]

LG화학이 배터리 소재 공급망 강화를 위해 고려아연 계열사인 켐코(KEMCO)와 전구체 합작법인(JV)을 설립하기로 했다고 2일 밝혔다.

전구체는 니켈과 코발트, 망간, 알루미늄 등의 원료를 배합해 만드는 양극재의 중간재로 재료비의 약 70%를 차지한다.

켐코는 연간 8만톤 규모의 황산니켈 생산능력을 보유하고 있다. 고려아연(모회사)은 비철금속 제련 기술을 바탕으로 니켈과 코발트, 망간 등 배터리 핵심 원재료를 추출하는 기술을 확보하고 있다.

합작법인(한국전구체주식회사)은 울산 온산산업단지 고려아연 공장 인근에 설립된다. LG화학이 집중적으로 육성하고 있는 전기차(EV) 배터리용 NCMA(니켈/코발트/망간/알루미늄) 전구체 전용라인을 구축할 계획이다. 지분율은 켐코 51%, LG화학 49%다.

이 회사는 2024년까지 총 2천억원 이상을 투자해 연간 2만톤 이상의 전구체 생산 능력 확보를 목표로 세웠다. 내달 착공을 시작으로 2024년 2분기께 제품을 양산, LG화학 청주 양극재 공장에 전구체를 공급할 예정이다. 2025년 예상 매출은 약 4천억원 규모다.

합작법인은 켐코에서 생산해서 공급하는 메탈을 포함해 폐배터리와 폐기물 등에서 추출한 리사이클 메탈도 함께 활용해 전구체를 생산할 계획이다.

LG화학은 “리사이클 역량 확보와 함께 고품질의 황산니켈을 안정적으로 공급받을 수 있게 됐고, 켐코는 국내 시장에서 확실한 수요처를 확보해 배터리 소재 사업 포트폴리오를 확대할 수 있게 됐다”고 설명했다.

LG화학 최고경영자(CEO) 신학철 부회장은 “이번 합작은 종합 전지소재 회사로 도약하기 위한 기반을 강화하는 데 의미가 있다”며 “과감한 투자와 협업으로 친환경 배터리 소재 사업의 멈춤 없는 성장을 만들어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켐코 최내현 대표는 “원자재는 전세계 화두임에도 불구하고 켐코가 확보한 니켈은 그간 수출할 수밖에 없었다”며 “최고 수준의 금속 정련 능력을 바탕으로 전구체 국산화에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ITBiz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