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유플러스가 노키아와 5G 어드밴스드, 6G 분야 연구개발 협력을 강화하는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협약을 통해 양사는 5G의 진화 단계인 5G 어드밴스드, 6G에서 본격화될 ‘네트워크 구조 확장/주파수 확장/서비스 공간 확장 기술’ 개발을 위해 긴밀하게 협력할 예정이다. 주요 기술의 요구사항을 도출하고, 새로운 기술을 발굴하는데도 손을 잡는다.
6G 네트워크에서는 오픈랜과 같이 이동통신 무선접속망(RAN)을 구성하는 기지국 등 무선 통신장비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분리하고, 서로 다른 제조사 장비 간 연동을 구현하는 표준기술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양사는 ▲개방형 프론트홀 ▲클라우드 RAN ▲무선접속망 지능형 컨트롤러(RIC) 등 오픈랜 관련 주요 기술에 대한 공동 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다.
또 버려지는 에너지를 재사용하는 ‘에너지 하베스팅’ 기술과 ‘액체 냉각 기지국’ 등의 기술적 효용성과 6G 네트워크 확장에 활용할 수 있는 방안도 공동 연구주제로 삼았다.
6G 주파수 확장 기술 확보를 위해 차세대 안테나 기술인 ‘재구성 가능한 지능형 표면(RIS)’ 관련 공동 연구도 함께 진행할 계획이다. 양사는 6G 선행기술 검증 목적으로 RIS 필드 시험을 진행한 바 있으며, 6G 주파수로 부각되는 테라헤르츠파 RIS 기술 공동 연구도 진행한다.
양사는 6G 서비스 공간 확장 기술 확보를 위해 ‘비지상네트워크(NTN)’ 관련 공동 연구도 계획하고 있다. 비지상네트워크는 바다나 외딴 섬, 상공 등에도 일반적인 셀룰러 네트워크와 유사한 품질의 네트워크를 제공하는 기술이다.
LG유플러스는 한국과학기술원(KAIST)와 양자컴퓨터 D-웨이브를 통한 저궤도위성의 네트워크 최적화 연구를 진행한 바 있다.
권준혁 LG유플러스 네트워크부문장(전무)은 “5G 네트워크의 고도화와 함께 6G 네트워크에 대한 준비를 철저히 수행해야 고객이 만족하는 품질 수준을 확보할 수 있다”며, “이번 노키아와의 협약을 통해 그간 LTE, 5G 네트워크 등에서 긴밀하게 협력해온 노키아와의 파트너십을 공고하게 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안태호 노키아코리아 대표는 “이번 협약체결을 통해 빠르게 진행 중인 5G 어드밴스드 및 6G 기술개발에 양사의 협력을 증진하게 됐으며, 향후 6G의 핵심기술인 오픈랜과 클라우드 RAN에서 양사의 협력이 미래 무선 기술의 구조를 검증하고 나아가 상용화를 앞당기는 기술개발에 일조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KT, 위챗 내 ‘미니프로그램’ 개설…외곡인 고객 맞춤혜택 강화
- LGU+, 2022년 양자암호통신 시범인프라 국책과제 주관기관 선정
- LGU+, 감정 기반 ‘AI 콘텐츠 검색’ 기술 고도화
- “2050년 사용전력 100% 재생에너지 전환”…LGU+, 탄소중립 로드맵 수립
- 포티넷, KT와 파트너십…SD-WAN 기반 데이터 서비스 시장 공략
- 방통위, ‘결합상품 이용자 경품 차별’ 7개 방송·통신사에 과징금
- 데이터 트래픽 폭증, “망 사용료 놓고 빅테크·OTT-텔코 갈등 깊어져”
- KIST·SDT, 양자암호통신장치 기술이전 조인식
- 과기정통부, SK네트웍스서비스 5G 주파수대역 허용
- 맥스트·노키아, 5G 특화망-메타버스 융합 솔루션 개발 ‘맞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