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허청, IP5 출원 분석결과 연평균 58% 증가세
정보처리를 위해 원거리(Core)에 위치한 중앙컴퓨터를 대신해 기지국이나 기지국 주변의 서버가 네트워크의 말단(Edge)에 접속된 이용자와 사물을 대상으로 실시간 서비스를 가능하게 지원하는 다중접속 엣지컴퓨팅 관련 특허출원이 빠르게 늘고 있다.
5일 특허청에 따르면, 전세계 특허출원의 85%를 차지하는 선진5개국(미국/EU/중국/일본/한국, IP5)의 다중접속 엣지컴퓨팅 관련 특허출원은 최근 5년간(2016년~2020년) 연평균 58%의 성장률을 보였다. 관련 특허는 2016년 294건에서 2020년 1,848건으로 6배 이상 증가했다.
국가별(IP5) 출원비중을 살펴보면, 중국이 전체 출원의 36.2%를 차지해 가장 많았다. 이어 미국(32.6%), 유럽(12.9%), 한국(12.2%), 일본(6.0%) 순으로 집계됐다. 출원인 국적별로는 중국(37.9%), 미국(22.3%), 유럽(14.0%), 한국(13.8%), 일본(9.9%) 순으로 많았다.
다출원 순위는 ▲화웨이(548건) ▲삼성전자(459건) ▲노키아(445건) ▲인텔(336건) ▲버라이즌(213건) 순으로 조사됐다. 특히 삼성전자가 다출원인 순위 2위를 차지하여 특허권 확보에 나서고 있다.
국내기업 순위는 ▲삼성전자(327건) ▲SK(33건) ▲LG(27건) 등 전자통신 기업의 출원이 두드러졌다.
국내 10대 다출원인은 상위 3개 기업을 포함해 전자통신연구원(25건), 경희대학교(15건), KT(11건), KUL CLOUD(10건), 피아몬드(7건), KAIST(4건), 네이버(3건) 등으로 집계됐다.
특허청 이상돈 사물인터넷심사과장은 “5G, 6G 등 초고속 통신을 기반으로 하는 다양한 서비스 시장 선점을 위해 다중접속 엣지컴퓨팅 기술에 대한 경쟁은 치열해질 것으로 보인다. 우리나라도 국내 기업·대학, 연구소 등에서 선제적인 기술개발 및 핵심특허를 확보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키사이트, AI링크 5G 특화망 성능검증·배포 가속화 지원
- 반도체 특허 심사기간, 대폭 단축된다
- 슈나이더, “디지털 커넥티드 OT 전략, 보안·기술·신뢰성 확보가 핵심”
- “버리는 열로 주행”…친환경차 성장세, 열관리 시스템 특허출원 늘었다
- 기술 레벨3 자율차 상용화 움직임, ADAS 관련 특허출원 증가세
- SKT·AWS, ‘5GX 엣지존’ 추가 구축…초저지연 서비스 확장
- IBM, 앤듀로샛 로켓에 관측용 엣지컴퓨팅 시스템 공급
- “올해 아태지역 엣지컴퓨팅 시장, 폭발 성장할 것”
- 넷앱·킨드릴, 글로벌 파트너십 발표…공동 솔루션 개발 협력
- VM웨어, ‘크로스 클라우드’로 멀티클라우드 통합 지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