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경련, 제4차 K-ESG 얼라이언스 회의
전국경제인연합회가 16일 서울 여의도 전경련 콘퍼런스센터에서 ‘제4차 K-ESG(환경/사회/지배구조) 얼라이언스 회의’를 개최했다.
‘ESG 공시 정책 현황 및 향후 방향’을 주제로 열린 이날 회의에는 김소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을 비롯해 30여개 위원사의 임원이 참석했다.
김윤 K-ESG 얼라이언스 의장은 개회사에서 ESG 정보 공시의 중요성에 대해 언급하며 “현재 기업들은 환경, 사회와 같은 이슈에 대한 비재무정보를 얼마나, 어떻게 공시해야 할지의 문제에 직면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 의장은 “내외적으로 시행되고 있는 ESG 정보 공시 제도가 많아 기업들은 이에 대한 부담감도 느끼고 있다. 효율적인 ESG 정보 공시기준을 통해 기업의 공시 대응 역량을 강화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전경련에 따르면, 국내 ESG 관련 정보 공시제도에는 ▲기업지배구조 공시 ▲환경정보 공시 ▲지속가능경영정보 공시 등이 있으며 추후 공시 의무 대상 기업이 확대될 예정이다. ESG 정보 공시에 대한 표준화·단일화를 통해 기업 ESG 정보 공시의 부담 완화 및 효율성 제고가 필요하다고 전경련은 설명했다.
김소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은 인사말을 통해 “정부, 기업이 함께 ESG라는 새로운 시대적 흐름에 적절히 대응해나가는 것이 중요하다”며 “공시-평가-투자에 이르는 ESG 생태계 전반에 걸쳐 제도 기반을 확충하겠다”고 밝혔다.
정부의 주요 정책과제로 ▲ESG 공시와 관련한 글로벌 논의 대응 ▲국내 ESG 공시 제도 전반 정비 ▲ESG 평가의 투명성·전문성 제고 ▲중소·중견기업의 ESG경영 전환 지원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ESG 공시 정책 현황 및 향후 방향’을 주제 발표자로 나선 김광일 금융위원회 공정시장과장은 “투자자들의 ESG 정보 공개 확대 요구가 증가하고 기업 측면에서도 ESG가 기업의 장기적 성장을 견인하는 요소로 자리한 만큼, 투자자와 기업 모두에게 신뢰성 있고 비교가능한 ESG 정보가 제공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금융위는 ESG 공시 국제표준화 논의에 적극 참여하는 한편 지속가능경영보고서 공시 방안을 구체화하는 등 국내 ESG 공시 제도도 정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 삼정KPMG, UL과 ESG경영 컨설팅 활성화 사업 ‘맞손’
- “韓 대비 경제규모 작은 대만, 반도체 대기업 2배 많다”
- 전경련, “제약산업 경쟁력 취약, 의료 빅데이터 활용·맞춤형 정책 필요”
- 카카오, ‘증오발언 근절 원칙’ 일환 코딩북(coding book) 제작한다
- SK 최태원, “기업가치 키울 신뢰 기반 네트워크 키워야”
- “대기업 87%, 원자재 가격·환율 상승으로 수익성 악화”
- “전세계 100대 ICT기업, 한국은 삼성, SK하이닉스 2개사 불과”
- 현대건설, 관악 재개발 공사현장서 폭발사고…인근 아파트까지 파편
- 30대 그룹 ESG 안건 중 지배구조 비중 32%…환경분야는 미비
- “글로벌 500 에너지 기업 77개 중 韓 기업은 3개 불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