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30대 그룹의 ESG위원회가 ESG 전략 수립과 지배구조(G) 개선 관련 안건을 중점적으로 다뤘다는 분석이 나왔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20일 ‘ESG위원회 안건 분석 및 시사점’ 보고서를 통해 30대 그룹 중 ESG위원회를 설치하고 관련 내용을 공시한 15개 그룹의 ESG 활동을 분석해 이같이 밝혔다.
전경련에 따르면 지난해 1월부터 지난 6월까지 15개 그룹의 48개 ESG 위원회는 회의를 총 257번 개최했다. 48개 위원회의 위원 수는 총 266명으로 위원회당 평균 5.5명의 이사가 참여하고 있으며 이사의 위원회 참석률은 98.1%를 기록했다.
총 안건 수는 654개로 회의당 약 2.5개 안건이 상정됐다. 이 중 의결사항은 278개, 나머지 371개는 보고, 심의, 검토 대상 안건으로 조사됐다.
분야별로 지배구조(G) 안건이 환경(E), 사회(S) 분야 보다 비중이 컸다. 세부적으로는 ▲ESG 관리 안건 34.9% ▲지배구조(G) 분야 안건 32.3% ▲일반 경영 및 투자 안건 17.4% ▲사회(S) 분야 10.2% ▲환경(E) 분야 4.4% 순이었다.
ESG 관리를 제외한 ESG 중 G 부분의 의결 안건 비중이 높았던 이유는 해당 분야에 법으로 규제되는 사안이 다수 포함된 것이 이유로 분석된다.
ESG 관리 안건 중 ESG 경영에 대한 방향을 잡기 위한 전략 및 계획 수립 비중이 39.5%(90건)로 가장 높았다. 위원장 선임 등 위원회 운영 23.7%(54건), ESG 추진 경과가 15.8%(36건)로 뒤를 이었다.
ESG 관련 공시 및 각종 보고서 발간에 대한 논의는 11.4%(26건)로 ESG 공시에 대한 기업들의 관심이 높았다. 한국기업지배구조원(KCGS), 모건스탠리캐피털인터내셔널(MSCI) 등의 ESG 평가 관련해서도 15건의 논의가 있었던 만큼 ESG 등급 관리에도 관심을 보이고 있었다.
지배구조 관련 논의안건 중 가장 많이 논의된 주제는 ‘내부거래, 특수관계자 등과의 거래에 대한 승인’으로 64.9%(137건)의 비중을 차지했다.
기업들은 윤리규정을 제정하고 공정거래 자율준수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등 기업윤리(10.4%, 22건), 공정거래(8.1%, 17건) 측면에서도 자율적인 투명성 제고 노력을 기울였다. 다음으로 배당 등 ‘주주가치 제고’를 위한 안건도 전체 지배구조 논의안건 중 6.6%(14건)를 차지했다.
환경 분야 논의안건에는 탄소전략 안건 58.6%(17건), 친환경사업 관련 안건 41.4%(12건)이 있었다. 사회 분야 논의안건 중에서는 사회공헌 안건이 68.7%(46건)로 가장 비중이 높았고 안전 및 보건 17.9%(12건), 인권 6.0%(4건) 등의 순이었다.
투자·경영 논의안건 중에서는 투자 및 출자 안건 36.8%(42건), 기타 사업 관련 안건 18.4%(21건), 경영계획 안건 16.7%(19건)의 순으로 조사됐다.
전경련 김준호 ESG팀장은 “기업들은 지난 1년 반 동안 ESG 활성화를 위한 인프라를 구축하는 데에 주력했다”고 평가하며 “정부가 공시·평가 등 ESG 관련 기준과 정책을 수립할 때 기업들이 관심을 갖고 있는 ESG 분야를 적극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언급했다.
관련기사
- “기업 성장 견인하는 ESG, 이해관계자 신뢰받는 정보 제공해야”
- 삼정KPMG, UL과 ESG경영 컨설팅 활성화 사업 ‘맞손’
- 카카오, ‘증오발언 근절 원칙’ 일환 코딩북(coding book) 제작한다
- SK 최태원, “기업가치 키울 신뢰 기반 네트워크 키워야”
- 자동화 이니셔티브, 기업 경쟁력 강화 핵심요소로 부상
- SK 이천포럼 개막, “ESG 실천, 더 미룰 수 없는 과제”
- 우리금융, 글로벌 생물다양성 이니셔티브 ‘PBAF’ 가입
- 네이버, RE100 가입 완료…글로벌 ESG경영 본격화
- 파산저축은행, 지원금 미회수액 최다는 부산저축은행
- LG엔솔, 발달장애 아동·청소년 대상 예술교육 지원 확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