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가 SK케미칼과 네이버 스마트스토어 사업자 등 중소상공인(SME)의 친환경 플라스틱 소재 도입을 지원하고 파트너들의 ESG역량 강화를 돕는 것을 골자로 하는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13일 밝혔다.
업무협약식은 이날 성남시 분당구 소재 네이버1784에서 김현석 SK케미칼 GC 사업본부장과 임동아 네이버 대외/ESG 정책 책임리더 등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다.
이번 협약에 따라 네이버와 SK케미칼은 SK케미칼의 ‘지속가능 패키징 솔루션(Sustainable Packaging Solution, SPS)’을 활용해 제품이나 용기를 친환경 소재로 전환하고자 하는 SME 사업자를 함께 발굴하고 선정된 파트너를 대상으로 금형 제작 및 네이버쇼핑을 통한 프로모션 등을 지원하기로 했다.
양사는 이를 통해 상품의 유통 및 소비 과정에서 발생하는 폐기물을 최소화하는 데 기여하고, 나아가 친환경 플라스틱 소재가 생산부터 재활용 단계까지 선순환될 수 있는 생태계를 구축하겠다는 계획이다. 이외에도 SME 대상의 ESG 교육 프로그램 등에도 협력할 방침이다.
SK케미칼의 SPS는 플라스틱 순환생태계를 잇는 핵심소재로 재생원료를 사용한 소재와 재활용이 가능한 소재로 구성돼 있다.
이번 협력은 SK케미칼의 플라스틱 순환생태계 플랫폼 ‘이음(EUUM)’의 서비스를 통해 추진됐고 SPS 활용 제품 제안, 디자인 협업 서비스와 체험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다.
김현석 SK케미칼 그린케미칼 GC사업본부장은 “환경보호를 위한 온실가스 저감, 순환생태계 구축은 소재기업부터 최종 소비자까지 공동의 노력이 필요하다”며, “네이버와 이커머스 파트너들과 함께 리사이클 소재 사용 확대를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임동아 네이버 대외/ESG 정책 책임리더는 “SK케미칼과의 협력은 네이버의 핵심 파트너들인 SME들의 ESG·친환경 역량을 강화하고 네이버쇼핑을 통해 친환경 플라스틱 생태계 구축에 기여할 수 있게 되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전했다.
관련기사
- 하나금융, SBTi 승인 획득…“2050년 넷제로 달성”
- 슈나이더·SK에코엔지니어링, 스마트팩토리 에너지 효율화 사업 ‘맞손’
- 네이버클라우드, 클라우드 기반 영상관제 시장 진출
- 네이버, 북미 패션 C2C 플랫폼 ‘포쉬마크’ 인수
- “기업 성장 견인하는 ESG, 이해관계자 신뢰받는 정보 제공해야”
- 네이버, 부산시·부경대와 지역 SME 디지털전환 지원…“지·산·학 상생모델 구축”
- [인사] 강원혁신센터, 4대 센터장에 이기대 전 스타트업얼라이언스 이사 선임
- 네이버파이낸셜, 빠른정산 대금 지급액 10조원 돌파
- 네이버 최수연 대표, “5년 내 글로벌 10억 사용자 확보, 15조 매출 달성”
- 업스트림 산업 ‘재활용’이 뜬다…폐기물 수집-처분-재활용 밸류체인에 ‘주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