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속가능성 위해 화석에너지 기반 암호화폐 채굴 단속
재생가능 친환경 에너지 활용 조건으로 채굴 허가증 발급

미국 뉴욕주가 암호화폐 채굴을 금지하기로 했다. 사진은 이달 15일 엘살바도르에서 열린 비트코인 서밋 현장 [사진=로이터]
미국 뉴욕주가 암호화폐 채굴을 금지하기로 했다. 사진은 이달 15일 엘살바도르에서 열린 비트코인 서밋 현장 [사진=로이터]

캐시 호컬 미국 뉴욕주지사가 암호화폐 채굴을 2년간 금지하는 법안에 서명했다. 탄소중립을 위한 방안으로 서명을 한 것인데, 미국은 물론 전셰적으로도 유례를 찾아보기 힘든 조치다.

법안의 주 내용은 탄소전기를 활용한 채굴을 2년간 금지하는 것이다. 뉴욕주에서 암호화폐 채굴은 허가받은 사업자만 가능하며 암호화폐 채굴허가는 100% 재생가능 에너지 사용함을 증명하는 경우에만 발급된다.

4월 뉴욕주 의회, 6월 뉴욕주 상원을 통과한 이 법안은 호컬 주지사가 서명함으로써 본격 발효됐다.

암호화폐는 탈중앙화 금융이라는 혁신기제로 주목을 받고 있으나 환경보호 측면에서는 암호화폐 채굴에 필요한 막대한 양의 전기와 컴퓨팅 리소스 활용으로 인해 비판받았다.

2040년까지 탄소중립을 실현하고 2050년에는 1990년의 85% 수준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을 절감하겠다는 공격적인 탄소발자국 정책을 발표한 뉴욕주는 이를 위한 방안 중 하나로 암호화폐 채굴의 친환경 에너지 활용유도를 꾀하고 있는 것이다.

CNBC 등은 뉴욕주의 조치가 미국 전역으로 파급효과를 낳을 수 있다고 예측했다. 미국은 전세계 암호화폐 채굴의 38%가  이뤄진다고 집계될 정도로 암호화폐 채굴이 기업화·산업화됐다. 

뉴욕주의 암호화폐 채굴기업이 다른 주로 이동해 활동하거나, 혹은 뉴욕주의 조치가 다른 주정부로 확산되면 관련 기업형 채굴자들의 집단 반발이 예상된다.

블록체인, 비트코인 관련 산업단체인 디지털상공회의소는 뉴욕주의 조치에 우려했다. 특정 산업을 선별해 에너지 사용을 금지하는 위험한 선례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디지털상공회의소에 따르면, 현재 전세계 암호화폐 ​​채굴산업에서 가능한 친환경 에너지 비율은 60% 미만으로 추정되며 뉴욕주는 80% 수준에서 가능하다. 즉 법안으로 인해 다수의 채굴자, 채굴기업이 뉴욕을 떠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실제로 디지털통화 기업인 파운드리는 규제 우려로 미국 내 채굴 네트워크에서 뉴욕주의 점유율은 20% 수준에서 10%로 낮아진 상황이다. 이는 텍사스주, 조지아주, 노스캐롤라이나주 등 암호화폐 채굴에 우호적인 지역으로 채굴기업이 이동한 결과로 풀이된다.

뉴욕주가 법안에 서명하면서 환경단체들은 환영의 목소리를 냈다. 작업증명(PoW)에서 지분증명(PoS) 방식으로 변경하는 ‘머지’ 업데이트를 통해 채굴에서 벗어난 이더리움에 대해 다수의 환경단체들이 일제히 환영의 뜻을 표했던 것처럼, 환경단체들은 막대한 전기를 소모하는 암호화폐 채굴은 기후 안보에 대한 주요 위협이라는 입장으로, 뉴욕주의 사례가 암호화폐 채굴에 대한 에너지 기준이 되기를 희망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ITBiz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