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일 2시 45분, 임무궤도 안착 위한 진입기동 개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달 궤도선 다누리가 17일 새벽 2시 45분에 달 임무궤도 진입을 위한 1차 달 임무궤도 진입기동(LOI)을 한다고 밝혔다.
LOI는 임무궤도(달 상공 100km 원궤도)에 안착시키기 위해 궤도선의 추력기를 사용하여 속도를 줄이는 것을 말한다.
8월5일 발사된 다누리는 이후 4.5개월간 지구-달 전이 궤적을 따라 총 594만km를 비행해 17일에는 달에서 약 108km 거리까지 근접한다. 다누리는 17일부터 28일까지 총 5차례의 LOI을 거쳐 달 임무궤도에 안착할 예정이다. 궤도 안착 성공은 29일 확인될 예정이다.
이번 1차 진입기동은 다누리가 달의 중력에 안정적으로 포획돼 달을 지나치지 않도록 하는 가장 중요한 기동이다.
이 과정에서 약 13분간 추력기를 가동해 다누리의 속도를 시속 8,000km에서 7,500km까지 감속하는 동시에, 목표한 위치까지 정확히 맞춰야 한다.
총알과 유사한 3,600km의 속도로 이동 중인 달 궤도에 두 배 이상 빠르게 움직이는 다누리를 진입시켜야 하는 것이다. 1차 진입기동의 결과는 데이터 분석 후 12월19일 도출된다.
21일부터 28까지 2~5차 진입기동을 거친 다누리는 임무궤도 안착 후 미세조정을 위한 보정기동을 올해 말(12월30일, 31일) 2회 실시하고, 내년 1월부터 본격적인 임무에 착수한다.
1월에는 탑재체 초기동작 점검, 본체 기능시험이 예정돼 있다. 2월부터 12월까지는 달 궤도상에서 달 궤도선 내 6개 탑재체를 운영해 과학관측데이터를 수집하고, 기술검증을 수행할 예정이다.
관련기사
- DMC융합연구단, 에이사(AESA) 레이더용 단일칩 개발
- 국토부, 항행안전시설 국제 세미나…위성기술 동향 공유
- 과기정통부, 우주개발진흥법 시행령 입법예고
- 베이조스 ‘블루오리진’ 준궤도 로켓, 발사 실패…상업비행 시작 후 최초
- 달 탐사선 ‘다누리’ 발사 성공…성큼 다가온 우주시대
- 韓 ‘누리호’ 성공 축하한 AWS, “우주 클라우드 시대 돕겠다”
- 누리호 성능검증위성, 지상국과 양방향 교신 성공
-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 발사 성공, 대한민국 우주시대 개막
- 오는 8월 발사하는 한국 첫 달 탐사선 이름은 ‘다누리’
- 과기정통부, OECD 디지털 경제장관회의서 뉴욕 구상 소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