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엔터프라이즈가 20일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 주관 안면인식 성능 및 보안 시험을 통과하고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주관 지능형 CCTV 성능 인증을 연이어 획득하며 AI 물리보안 기술력과 안정성을 모두 입증했다고 밝혔다.
TTA는 국가 공인기관이자 ICT 전문 시험인증기관이다. 카카오엔터프라이즈가 이번에 통과한 안면인식 성능·보안시험은 시중의 12종 단말기로 직접 테스트를 진했다.
시험은 현장에서 스마트폰 전면 카메라로 사진을 촬영한 안면 사진을 인식시켜 위변조 여부를 판단하고 이미 등록된 얼굴과 인증을 시도한 얼굴에 대한 유사도를 분석해 결과를 보여주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성능 평가에는 ▲오인식률(FAR) ▲오거부율(FRR) ▲등록실패율(FTE) ▲인증시도실패율(FTA), 보안 평가에는 ▲위조수락율(SAR) 등 총 5개 척도가 사용됐다.
오거부율은 안면인식 성능 평가 시 가장 많이 활용되는 평가 기준이다. 카카오엔터프라이즈는 “이번 시험평가에서 0.001%의 오인식률 상에서 임계치를 크게 하회하는 오거부율을 보이며 매우 뛰어난 수준의 안면인식 성능을 증명했다”고 전했다.
카카오엔터프라이즈는 실제 사람이 아닌 사진·영상 등의 위변조 시도를 허용하는 위조수락율 평가에서도 높은 점수를 획득하며 안정성을 인정받았다.
행동인식 기술 분야에서는 지난해 12월 KISA로부터 지능형 CCTV 성능 시험인증 중 ▲배회 ▲침입 ▲쓰러짐 등 총 3개 고정형 분야의 인증을 획득했다.
이 인증은 영상 데이터베이스(DB)에 기록된 이상 행위를 발생 2초 전부터 10초 이내에 판별하는 성능 시험을 실시해 각 항목별로 90% 이상의 정확도가 검출되면 평가 인증을 부여한다.
카카오엔터프라이즈의 AI 기반 행동인식 기술은 영상에서 인물을 검출해 주요 관절 위치를 특정해 자세를 추정하는 구조다. 다중 카메라 영상에서 동일 인물을 탐지해 다수의 인물을 동시에 추적할 수 있어 관제 구역 내 범죄 예방, 재난재해 방지, 안전 환경 모니터링 등에 활용할 수 있다는 게 사측 설명이다.
최동진 카카오엔터프라이즈 AI총괄(CAIO)은 “세계 유수의 안면인식 및 행동인식 분야 학회 및 대회에서 우수한 성적을 거둔 데 이어 국내 다수의 공인기관으로부터 기술 우수성과 보안성을 인정받게 돼 기쁘다”고 말했다.
한편, 카카오엔터프라이즈는 2021년 7월 KISA에서 주관하는 ‘바이오인식시스템 시험인증'에서도 얼굴 표정과 조명, 액세서리, 포즈 등 4개 조건에서 에러율 0%를 기록하며 얼굴 인식 알고리즘 ‘전체 인증’을 획득한 바 있다.
지난해에는 전세계 기술 표준을 선도하는 미국 국립표준기술연구소(NIST)가 주관하는 얼굴 인식 기술 대회(FRVT)에서 글로벌 유수의 기업을 제치고 2개의 부문에서 1위를 달성하는 성과를 거뒀다.
관련기사
- 슈나이더, HMI 센트릭 포트폴리오 확장…“OT-IT 유기적 연결 가능”
- 카카오엔터, AI 개발 플랫폼 ‘카카오i 머신러닝’ 출시
- “카카오가 내놓은 보상안의 한계, 그리고 쏘아올린 작은 공”
- 하나은행, 비대면 실명확인에 신분증 원본검증 기술 적용
- 알체라 안면인식 솔루션, 美 아이베타 테스트 통과
- “AI로 전세계 인구 식별 가능”…현대판 빅브라더 ‘안면인식’ 기술의 명과 암
- 카카오엔터, 세계 최고 AI 안면인식 대회서 기술력 과시
- ITO 업무효율성 제고…삼성SDS, 판교 IT캠퍼스 개소
- 알체라, 지난해 매출액 100억 돌파…데이터사이언스 매출 성장세
- 얼굴 촬영만으로 OK…하나은행, ‘비대면 실명확인 얼굴 인증’ 서비스 론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