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드VPN, 챗봇 이용 시 보안 팁 공개
노드VPN이 ‘챗GPT’ 등 AI챗봇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보안 팁을 공유했다.
사람처럼 대화할 수 있는 챗GPT는 이용자가 가장 빠르게 증가하고 있으며, 챗GPT의 인기에 힘입어 AI챗봇 기반 서비스가 다양한 분야에서 확대되고 있으나, 일반 사용자 뿐 아니라 이를 악용하려는 해커들도 급속도로 유입되고 있다고 지적된다.
16일 노드VPN에 따르면, 다크웹 게시물 중 챗봇 관련 문의는 1월 120건에서 2월에는 870건으로 625% 증가해 사이버 공격자들 사이에서 AI챗봇 활용 시도가 증가하고 있다.
다크웹에 올라간 게시물은 주로 ‘챗GPT 탈옥 방법’, ‘챗GPT 멀웨어’, ‘피싱 도구로 챗GPT 활용’ 등 챗GPT를 활용해 악성 프로그램을 퍼뜨리는 방법에 대한 것이다.
노드VPN은 사이버 범죄자들이 동시에 여러 명에게 피해를 입힐 수 있는 로맨스 스캠, 멀웨어나 피싱 이메일을 자동 생성하는데 챗GPT의 AI 기술을 악용해 활용할 수 있는 만큼 사용자의 각별한 주의해야 한다고 경고했다.
특히 챗GPT와 같은 AI챗봇 이용 시 ▲사적인 정보 남기지 않기 ▲피싱 주의하기 ▲바이러스 백신 사용 생활화 등을 권고했다.
AI챗봇은 이용자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점점 더 많은 정보를 습득하도록 설계됐기 때문에 AI챗봇에서 개인정보를 입력하면 타 이용자에게 유출될 가능성도 있어 주의가 요구된다.
또 어색한 문법이나 잘못된 맞춤법이 줄어든 피싱메일, 가짜 웹사이트 등에도 활용될 수 있어 피싱 피해 방지에 더 유의할 필요가 있다고 전했다.
관련기사
- “파괴적인 멀웨어, 지난해 크게 늘어났다”
- 中 정부, 챗GPT 접속 막았다…검열·통제 어려운 AI챗봇 견제하나
- “성인 콘텐츠·스트리밍 호스트 사이트는 멀웨어 집결지”
- 美 식품기업 돌(Dole), 사이버공격으로 북미공장 ‘올스톱’
- 노드VPN, “한 달간 보안위협 요소 7억건 차단”
- 노드VPN, 표적광고 위험성 경고…“개인정보 타깃한 보안위협 요소”
- “아태지역 소비자, 사이버위협에 대한 우려 높다”
- “챗GPT(ChatGPT) 악용한 사이버위협, 이미 시작됐다”
- 대북 분야 전문가 대상 자문요청 가장한 해킹공격 발견 ‘주의보’
- 사이버戰, 상상 아닌 현실…“국가 배후 해킹조직 공격 늘어날 듯”
오현식 기자
hyun@itbiz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