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시청 매체도 TV서 OTT서비스로 인식 전환
코로나19로 일상 곳곳에서 발생한 디지털전환(DT)이 완전히 자리 잡혔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나스미디어는 국내 PC, 모바일 인터넷 이용자의 주요 서비스 이용 행태와 광고 수용 행태를 분석한 ‘2023 인터넷 이용자 조사(NPR)’ 결과를 17일 발표했다.
조사결과에 따르면 엔데믹으로 실외 활동은 증가했으나 온라인 이용시간은 감소하지 않았다. 특히 여가시간을 온라인 동영상 시청으로 보내는 행태는 습관으로 완전히 자리 잡았다.
이같은 영향으로 기존 전자기기, 전통매체에 대한 개념도 달라지고 있다. 온라인 동영상을 시청 할 때 TV로 동영상을 시청하는 비율은 23%였으나 OTT서비스(넷플릭스)를 시청하는 비율은 30%에 달하면서 “TV를 보다”라는 개념이 변화하고 있다고 나스미디어는 분석했다.
콘텐츠를 볼 수 있는 채널에 대한 인식도 달라졌다. 하이라이트가 아닌 전체 드라마나 예능 콘텐츠를 보는 기기·채널에 대한 질문에는 10대부터 50대까지 TV나 방송 채널이 아닌 OTT서비스를 가장 먼저 떠올렸다.
구매 방식의 변화도 눈에 띈다. 모바일을 이용한 온라인 쇼핑 비율이 62.9%로 23.6%인 오프라인을 크게 앞질렀다.
온라인 쇼핑을 주로 하는 소비자들은 광고를 보고 결제로 이어지는 비율도 컸다. 최근 1개월 내 온라인 광고를 접촉한 사람 79%는 광고를 보고 곧바로 클릭했고, 이 중 52%는 구매로 연결됐다.
온라인 서비스 이용이 능숙해지면서 광고를 통한 구매도 쇼핑의 한 방식으로 자리를 잡은 것이다.
또 조사결과 50대 53%가 주 이용 쇼핑 방법으로 모바일 쇼핑을 꼽았으며 쇼핑 유료 멤버십도 66%나 이용했다. 50대가 인스타그램을 이용하는 비율도 꾸준히 증가했다.
나스미디어 마케팅 인텔리전스 센터 전홍진 실장은 “업종과 타겟 연령을 떠나 마케팅에서 디지털 중심으로 생각해야만 하는 상황이 조사로도 확인됐다”면서, “경기침체로 소비감축이 예상되는 가운데 온라인에서 여가와 쇼핑을 능숙하게 즐기는 소비자에게 도달하고, 구매까지 연결시키기 위한 마케팅 관계자들의 고민은 더 커질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생성형AI·써제스트 확산이 검색광고 시장 트렌드 변화 주도”
- 매출 하락에 고민 깊은 트위터, “지난달 광고매출 60% 이상 줄었다”
- LGU+, 소상공인 대상 무료 디지털 마케팅 교육 시작
- “고객 73%, 개인화 경험에 대한 기대 높다”
- “2023년 디지털 마케팅 키워드…HVOD, 검색광고, 인플루언서 마케팅”
- “2023년 디지털 마케팅 키워드는 ‘Shift’”
- 항공권·호텔예약율 회복세…크리테오, “여행업계 회복 청신호” 전망
- 한국IDC, 2023년 아태지역 CIO 어젠다 발표
- 콘진원·대장체, 장애인 e스포츠 활성화 ‘맞손’…MOU 체결
- 콘진원, KDB산업은행과 ‘K-콘텐츠산업 스페셜라운드’ 성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