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노트 발표자로 나선 NIA 황종성 원장 [사진=NIA]
키노트 발표자로 나선 NIA 황종성 원장 [사진=NIA]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 황종성 원장이 이달 21일(현지시간)부터 23일까지 미국 워싱턴DC 세계은행 본부에서 열리는 ‘코리아 디지털 데이 2023’에서 한국의 디지털혁신(DT) 성과인 디지털플랫폼과 데이터 인프라 정책을 소개하고 데이터 생태계 구축을 위한 국가 데이터 인프라 구축 전략을 공유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세계은행이 공동으로 주최하는 이 행사는 세계은행 관계자를 대상으로 한국의 우수한 디지털 정책과 주요 혁신사례를 알리고 세계은행과의 디지털 분야 협력을 강화하기 위해 마련됐다.

23일 NIA에 따르면, 황 원장은 22일 열린 ‘디지털플랫폼정부를 향한 새로운 여정(Korea’s Digital Platform Government: A Way Forward)’ 세션의 키노트 발표자로 나서 인공지능(AI) 및 데이터 기반 디지털플랫폼 정책과 국가 데이터 인프라 구축 전략을 발표하고 패널토론에 참여했다.

황 원장은 이날 NIA의 주요 성과와 한국의 디지털정부 발전 역사를 소개하고 ▲국가 데이터 인프라 ▲디지털플랫폼정부 ▲국민 체감형 디지털 솔루션 등 주요 정책과 전략을 공유했다.

특히 디지털전환(DT)을 위해 효율적인 국가 데이터 인프라가 중요함을 언급하며 ‘데이터 준비 80%, 활용 20%’ 패러다임을 ‘데이터 준비 20%, 활용 80%’ 전환한 데이터 생태계 혁신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또 개도국들을 위한 주권형 데이터 인프라 모델을 제시하고 세계은행에서 추구하는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최고의 에너지 효율형 인프라에 대해 협력하기로 했다.

이어진 패널토론에는 세계은행 디지털개발국 사미아 멜헴 수석전문가가 사회자로 나섰으며 NIA 황종성 원장, 브루킹스 연구소의 알렉스 엥글러 교수, 연세대 문명재 교수가 패널로 참석했다.

이날 토론에서 알렉스 엥글러 교수는 데이터 신뢰성 문제와 글로벌 데이터 준비도 편차 극복 방안을, 문 교수는 DT를 통한 정부 패러다임 전환과 민관협력을 위한 합의의 중요성 등에 대한 의견을 제시했다.

황 원장은 “이번 행사에서 코로나 팬데믹 이후 한국 정부가 핵심 정책으로 추진하는 디지털플랫폼과 데이터 인프라 전략을 세계은행과 워싱턴DC에 있는 미주개발은행(IDB) 등 국제기구에 소개하게 됐다”면서 “NIA가 지난 36년간 한국의 디지털전환을 통해 얻은 경험과 지식을 세계은행과 공유하면서 개도국의 DT 및 AI·데이터 기반의 혁신을 위해 협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ITBiz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