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파이낸스센터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현판 [사진=과기정통부]
세종파이낸스센터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현판 [사진=과기정통부]

챗GPT 대응을 위한 초거대 AI 정책방향 관련 의견수렴을 위한 자리가 마련됐다. 8일 민·관 최고위 관계자가 참석한 이날 행사는 지난 이종호 과기정통부 장관의 챗GPT 간담회와 박윤규 2차관의 타운홀 미팅에 이어 인공지능 최고위 전문가의 의견 수렴을 위해 마련됐다.

이번 최고위 전략대화는 최근 관심도가 높은 초거대 AI와 관련한 민‧관의 논의 내용을 국민 모두에게 알리기 위해 모든 논의 과정을 온라인을 통해 공개했으며 개인정보보호위원회 고학수 위원장,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 고진 위원장, 교육부 나주범 차관보, 임인택 보건복지부 보건의료정책실장 등 관계부처에서도 참여했다.

행사에서 카카오브레인의 초거대 AI 서비스인 칼로(이미지 생성AI), KoGPT(언어모델 AI)를 처음으로 공식 시연했으며, 카카오 엔터프라이즈 백상엽 대표가 ‘초거대AI 동향 및 국내 경쟁력 강화방안 제언’에 대해 발표했다.

초거대AI 서비스 스타트업인 뤼튼의 이세영 대표는 ‘대·중·소 협력 초거대AI 생태계 조성방안 제언’을, 마지막으로 KAIST 최문정 교수가 ‘챗GPT 등에 따른 사회적·문화적 영향력’에 대해 발표했다.

발제에 이어 ‘초거대 AI 경쟁력 강화 및 산업생태계 조성 방안’에 대해 데이터, 컴퓨팅 파워, 기술 경쟁력, 인력·산업 생태계 등과 관련해 우리나라의 경쟁력 제고방안과 관련한 논의가 이뤄졌다.

두 번째 주제인 ‘챗GPT 등 초거대AI 확산에 따른 사회적·문화적 영향력’에서는 챗GPT 등장에 따라 교육, 의료, 공공 분야 등에 다양한 사회영역에 미치는 영향 및 대응 방향에 대한 논의가 이어졌다.  

이어 ‘인공지능 관련 규제 개선 및 윤리·신뢰성 제고 방안’에서는 초거대 AI 학습 및 성과 확산을 위한 규제 개선 필요 사항과 신뢰성, 윤리 확보를 위한 기술적·사회적·제도적 고려사항 등이 논의됐다.

이 장관은 “초거대AI는 정부가 그간 추진해온 데이터 구축·개방, 컴퓨팅 자원 제공, AI R&D 지원, AI 윤리·신뢰성 확보 등과 밀접하게 연관된 분야로 우리나라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기반이 됐다”고 평가했다. 

이어 “초거대AI 분야는 글로벌 빅테크 기업이 챗GPT 같은 초거대AI 서비스를 내놓고, 투자도 규모로 진행하고 있는 만큼 우리도 민관의 역량을 총결집해서 국가적 대응력을 높여야 한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ITBiz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