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왼쪽부터) 누빅스 전병기 대표, LG유플러스 임장혁 기업신사업그룹장, 글래스돔코리아 함진기 법인장 [사진=LG유플러스]
(왼쪽부터) 누빅스 전병기 대표, LG유플러스 임장혁 기업신사업그룹장, 글래스돔코리아 함진기 법인장 [사진=LG유플러스]

LG유플러스는 밸류체인 플랫폼 사업자 누빅스, 탄소배출 관리 솔루션 기업 글래스돔코리아와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10일 밝혔다. 탄소배출량 감축 등 글로벌 환경규제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솔루션을 제공해 제조기업의 원활한 상품 수출을 돕는다는 목표다.

LG유플러스 용산사옥에서 진행된 협약식에는 LG유플러스 임장혁 기업신사업그룹장, 누빅스 전병기 대표, 글래스돔 함진기 법인장 등 주요 경영진이 참석했다.

유럽연합(EU), 미국, 일본 등 일찍부터 온실가스 감축에 나선 국가들은 정교한 탄소배출 규제 로드맵을 그리고 있다. EU의 경우 올해 10월부터 수입되는 철강, 시멘트, 전력 등 6개 품목에 탄소배출량에 따른 비용을 추가로 부담시키는 탄소국경조정제도(CBAM)를 시범운영한다. 

또 EU에 자동차용 배터리를 수출하는 기업들은 이르면 2024년부터 탄소발자국 정보를 공시해야 하며 2026년부터는 배터리의 생산부터 이용-폐기-재사용/재활용에 걸친 생애주기 정보를 디지털화하는 ‘배터리 여권(Battery Passport)’ 제도도 시행될 예정이다.

3사는 이와 같은 세계적 환경 규제 흐름에 발맞춰 밸류체인 플랫폼(VCP-X)과 이를 기반으로 한 전생애주기평가 솔루션(LCA)을 기업전용망에 결합해 수출기업에 확산해 나가기로 했다. 

누빅스는 VCP-X를, 글래스돔은 LCA 솔루션을 개발·상용화를 추진하며 LG유플러스는 고객사 제안 및 기업전용망을 구축·운영하는 역할을 맡는다.

VCP-X는 글로벌 표준기술을 활용해 개발된 플랫폼으로 환경 규제 대응을 위해 완제품 수출기업 및 1·2차 협력사 간 데이터를 통합 수집·호환을 지원한다. 글래스돔이 개발 중인 LCA 솔루션은 LG유플러스 기업전용망을 활용해 각 공장에서 발생하는 실시간 데이터를 수집하고 탄소배출량을 계산하는 솔루션이다. 

3사는 이들 플랫폼-솔루션 결합을 통해 협력업체의 민감한 데이터가 유출되지 않도록 방지하면서 환경규제 관련 데이터만을 산출할 수 있고, 수출기업에 정확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3사는 국제인증기관과 함께 LCA 솔루션 인증 제도화도 추진해 솔루션을 도입한 기업들이 별도의 추가 인증 없이 환경규제에 대응하도록 지원할 방침이다.

LG유플러스 임장혁 기업신사업그룹장(전무)은 “수출기업이 탄소배출량을 필수적으로 관리해야 하는 시기가 도래한 만큼 3사 간 사업협력이 시너지를 발휘할 것으로 기대한다”면서 “ESG와 연관된 다양한 솔루션을 확보해 기업고객이 시대적 변화에 잘 대응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누빅스 전병기 대표는 “누빅스는 글로벌 환경 규제에 필요한 밸류체인 기업간 플랫폼 및 생태계를 선제적으로 제공하고, LG유플러스의 보안이 강화된 기업전용망을 기반으로 기업을 대상으로 더 나은 구독형 SaaS 소프트웨어들이 확산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글래스돔코리아 함진기 법인장은 “글래스돔의 LCA 솔루션은 글로벌 제조기업들이 직면하고 있는 공급망 탄소관리 이슈를 실시간 데이터 기반의 선진화된 기술력으로 극복할 수 있다”며 “3사 간 협력으로 제조기업의 글로벌 수출 경쟁력 강화와 ESG경영 전환을 가속화하는데 기여하겠다”고 전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ITBiz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