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시그넷이 개발한 표준형 초급속 충전기 V2 [사진=SK시그넷]
SK시그넷이 개발한 표준형 초급속 충전기 V2 [사진=SK시그넷]

SK시그넷이 유럽시장 진출을 위해 설립한 ‘SK시그넷 유럽(SK Signet Europe)’이 첫 수주에 성공했다. 20일 SK시그넷에 따르면, SK시그넷 유럽은 지난해 12월 영국에서 100억원 규모의 첫 수주 계약을 맺으며 유럽 영업을 개시했다.

SK시그넷은 독일을 거점으로 유럽 내 전기차(EV) 보급 확산을 주도하는 주요 5개국(독일/영국/이탈리아/프랑스/스페인)을 타겟으로 영업 활동과 사업파트너 발굴에 주력하고 있다. 

지속적인 관리와 고객 대응을 위해 영국 루톤지역에 서비스센터를 구축, 실시간 고객 대응이 가능한 체계도 구축했다. 오랜 경험과 미국 내 경쟁우위를 확보한 경험을 바탕으로 유럽에서도 국가별 맞춤형 충전 솔루션과 신속한 CS 대응으로 시장 경쟁력을 강화한다는 목표다.

유럽연합(EU)은 2020년 발표한 ‘지속가능한 스마트 모빌리티 전략’을 통해 2030년까지 유럽 내에 EV 충전기 300만대 이상 설치를 목표로 설정했고 2030년까지 EU의 평균 탄소배출량을 1990년 대비 55% 수준으로 줄이기 위한 법안(Fit for 55)을 지난해 제정한 바 있다. 

이달 14일(현지시간) 유럽의회는 EU 회원국의 승인을 받아 탄소배출 규제 합의 법안을 통과시키며, 향후 2035년부터 유럽연합 내 내연기관 차량의 판매가 금지되면서 EV 보급과 EV 충전기 시장도 큰 폭의 성장세를 이룰 것으로 예상된다.

유럽의회는 이번 탄소배출 규제 법안을 통과시키면서 트럭·고속버스 등의 대형 상용차 탄소배출 규제 법안도 공개했다. 2040년까지 대형 상용차의 탄소배출량을 2019년 대비 90% 줄이도록 하는 것을 담고 있어 관련 업계에서도 메가와트 차징 시스템(MCS) 개발에 집중하고 있다.

신정호 SK시그넷 대표는 “내년 상반기 중 메가와트 차징 시스템(MCS)을 론칭할 계획”이라며 “유럽 내 EV 인프라 구축과 글로벌 넷제로 달성에 기여할 것”이라고 전했다.

박흥준 SK시그넷 마케팅본부장(CMO)은 “선도적으로 EV 보급을 확대하고 있는 유럽시장에서 SK시그넷의 차별화된 제품과 서비스를 통해 다양한 고객과의 파트너십을 확대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ITBiz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