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경련, 코스닥·코스피 상장사 분석…韓 일시적 한계기업 비중 30.7%

[사진=게티이미지]
[사진=게티이미지]

국내 상장사 5곳 중 1곳은 버는 돈으로 이자 갚기도 어려운 한계기업 상태라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22일 전국경제인연합회가 코스닥·코스피 상장사의 한계기업 비중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2022년 말 기준 한국의 상장사 중 17.5%가 한계기업인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2016년 9.3%이던 한계기업 비율이 최근 6년간 8.2%p 증가한 것이다. 

한계기업은 3년 연속으로 이자보상배율이 1미만인 기업을, 이자보상배율은 영업익을 이자비용으로 나눈 값이다.

코스피·코스닥 상장사의 한계기업 비율은 2016년 9.3%로 동일했다. 2022년에는 코스피의 한계기업 비율은 11.5%로 2.2%p 증가하는데 그쳤으나 코스닥은 11.2%p 증가한 20.5%를 기록했다. 

코스닥 기업의 한계기업 비율이 크게 높아진 것은 코로나·고금리 등 외부 충격에 취약했기 때문인 것으로 전경련은 분석했다.

지난해 전체 상장사 중 일시적 한계기업 비율은 30.8%에 달했다. 전체 상장사의 3개 중 1개는 일시적으로 기업경영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셈이다. 

일시적 한계기업 비율 추이를 보면 코로나 이전 2018년까지는 20%대에 머물렀으나 2019년 30%대에 진입한 후 2020년 코로나의 유행으로 34.6%로 최대를 기록했으나 코로나 위기가 잦아들면서 점차 안정을 찾아가는 모습을 보였다.

[전경련 자료인용]
[전경련 자료인용]

지난해 기준 한계기업 비율이 가장 높은 업종은 기준 사업시설 관리, 사업 지원 및 임대 서비스업(30.4%) 등이었다. 이어 운수·창고업(25.8%), 전문/과학·기술 서비스업(25.0%), 도매·소매업(23.2%), 정보통신업(16.8%), 제조업(16.4%), 건설업(15.5%), 금융·보험업(3.5%) 순으로 나타났다.

2016년 대비 2022년 한계기업 비율이 크게 오른 업종은 운수·창고업(19.3%p, 6.5%→25.8%), 전문/과학·기술 서비스업(18.1%p, 6.9%→25.0%), 사업시설관리/사업지원·임대서비스업(17.4%p, 13.0%→30.4%)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건설업의 한계기업 비율은 2016년 이후 하락세를 보였으나 최근 1년새(2021년, 8.6% → 2022년, 15.5%)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2021년 기준 주요 7개국(G5/중국/한국 상장사) 중 미국(20.9%), 프랑스(19.2%), 한국(16.5%) 순으로 한계기업 비율이 높았다.

국가별 한계기업 비율 상승폭(2016년∼2021년)은 미국(8.9%→20.9%, 12.0%p↑), 한국(9.3%→16.5%, 7.2%p↑), 프랑스(12.3%→19.2%, 6.9%p↑) 순으로 집계되면서 한국의 한계기업 비율 증가속도는 7개 국가 중 2번째로 높았다. 

[전경련 자료인용]
[전경련 자료인용]

2021년 기준 한국의 일시적 한계기업 비중은 30.7%로 비교대상국 중 미국 다음으로 높았다. 2022년 데이터가 있는 한·미·일의 일시적 한계기업 비율을 비교하면 한국이 30.8%로 미국을 추월하면서 3개국 중 가장 높았다.

추광호 전경련 경제산업본부장은 “2020년부터 확산된 코로나19와 금리인상, 최근의 경기악화 등이 한계기업의 증가 요인으로 분석된다”면서 “안정적 금융정책 기조를 유지하고 업종별 특성을 고려한 정책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ITBiz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