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장기 미래 과제 논의, 글로벌 모빌리티 얼라이언스 구축
카카오모빌리티가 일본 고(GO)와 모빌리티 분야 협력 확대를 위한 킥오프 미팅을 진행했다고 밝혔다. 고는 일본 1위 택시 호출 서비스 ‘고(GO)’를 운영 중인 기업이다.
고는 일본 최대 택시기업 일본교통 홀딩스의 그룹사가 운영하던 ‘재팬택시’와 일본 IT 기업 DeNA의 ‘무브’가 2020년 4월 사업을 통합하면서 출범한 기업이다. 지난달 사명을 모빌리티테크놀로지스에서 고로 변경했으며 현재 관련 앱은 일본 전역 90%의 도부현에서 서비스되고 있다.
카카오모빌리티는 2018년 9월 GO의 전신인 재팬택시에 15억엔을 출자하며 재팬택시와 협력을 시작했다.
양사는 기존에 진행해 온 카카오T 로밍 서비스 제공을 넘어 양국 이용자의 이동 장벽을 해소하고 해외 모빌리티 플랫폼 간의 경제협력 사례를 만들 수 있는 장기적 방안을 모색하기로 했다.
2019년 카카오모빌리티가 카카오T 로밍 서비스를 일본에서 최초로 선보이면서 재팬택시는 카카오모빌리티의 첫 해외 진출 파트너가 됐지만, 코로나19 확산 등 대내외 여건 악화로 인해 협력 확대 논의에 어려움을 겪어왔다.
허나 최근 엔데믹에 따른 여행 수요 회복, 한일 양국 경제교류 재개, 카카오모빌리티의 영국 모빌리티 중개 플랫폼(스플리트) 인수 등으로 모빌리티 분야에서도 다양한 협력을 추진할 수 있는 여건을 갖추게 됐다고 카카오모빌리티는 설명했다.
양사는 이번 논의를 통해 코로나19 이후 택시 기사 급감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만큼, 택시 공급을 확대하고 배차를 효율화해 수요공급을 최적화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논의하고 두 서비스 간 연동을 확대하면서 이동 편의성을 높이는데도 힘쓸 전망이다.
현재 일본에 입국하는 한국 여행객이 카카오T를 통해 고에 연결된 일본 택시를 이용하는 것은 가능하나, 한국에 온 일본 여행객들이 GO앱을 통해 카카오 T 택시를 이용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양사는 추후 고의 수요단(승객)과 카카오T의 공급단(택시)을 연동해 일본 관광객이 한국 방문 시 기존에 쓰던 고 앱 그대로 카카오T에 연결된 한국 택시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논의해 나갈 예정이다.
향후 고 앱과 카카오T 앱의 양방향 연동이 구현되면 국내 택시 업계의 수요 확대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양사는 기대했다. 협력 결과물이 양국의 경제 협력 및 관광 산업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는 마중물이 될 수 있도록 힘을 보탠다는 목표다.
카카오모빌리티는 “이번 킥오프 미팅을 통해 협력 방향성에 대해 교감을 이룬 양사는 향후 경영진 회의와 정례 워크샵을 개최해 실행 과제들을 구체화해 나갈 예정”이라고 전했다.
관련기사
- LGU+, 진주시 관광 핫플레이스 알린다…MOU 체결
- 쏘카, “모빌리티 초거대AI 챌린지 연다”
- 카카오모빌리티, 편의점 4사와 리테일 테크 생태계 활성화 ‘맞손’
- 카카오페이, “3년 내 연 100억건 금융 니즈 해결 목표”
- 카카오모빌리티·기아, 헤일링 서비스 시장 개척 ‘맞손’
- 에이펙스에이아이, 국내 지사 설립…한국시장 공식 진출
- 쏘카·에스앤아이, 공유 모빌리티 활성화 ‘맞손’
- LGU+, 모빌리티 경험혁신 아이디어 발굴…‘차량용 앱 서비스’ 공모전 개최
- ETRI, 인천시와 6G 입체통신 실증 협력
- ‘2022년 항공교통서비스 평가’ 발표…제주항공, ‘시간준수성·안전성’ 최상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