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 전반에 생성IT 활용 확산 협력
엔비디아가 엔터프라이즈급 생성형 인공지능(AI) 기능을 개발하기 위해 서비스나우와 파트너십을 체결한다고 발표했다. 이번 파트너십은 보다 빠르고 지능적인 워크플로우 자동화를 기반으로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혁신하는 생성AI의 개발을 목표로 추진됐다.
현재 서비스나우는 엔비디아의 소프트웨어, 서비스, 가속화된 인프라를 사용해 맞춤형 대규모언어모델(LLM)을 개발하고 있다. 이 LLM은 서비스나우 플랫폼에 특화된 데이터로 훈련된다. 서비스나우의 AI 기능을 확장해 IT부서와 고객 서비스 팀, 직원, 개발자 등 엔터프라이즈 전반에서 생성AI를 활용할 수 있게 된다.
생성AI 툴을 바탕으로 엔비디아 데이터를 사용해 엔비디아 ‘네모’ 기반 모델을 맞춤화하고 IT인프라 운영도 간소화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네모 기반 모델은 엔비디아 DGX 클라우드, 온프레미스 엔비디아 DGX 슈퍼POD AI 슈퍼컴퓨터로 구성된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인프라에서 실행된다.
서비스나우와 엔비디아는 목적기반 챗봇을 활용하는 지능형 가상비서를 포함, 다양한 생성AI 사용사례를 모색하고 있다. 특정 IT작업에 집중하는 목적기반 챗봇은 광범위한 사용자의 질문과 지원 요청의 신속한 해결을 지원하며 독점 데이터로 챗봇을 커스터마이징할 수 있도록 개발될 예정이다.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는 “IT는 모든 산업 분야에 걸친 모든 현대 기업의 신경계와 같다. 기업을 위한 고도로 맞춤화된 생성AI를 구축하려는 양사의 협력은 서비스나우 플랫폼을 사용하는 전세계 IT전문가들의 역량과 생산성을 향상시킬 것”이라고 말했다.
CJ 데사이 서비스나우 최고운영책임자(COO)는 “생성AI의 도입이 가속화되면서 기업은 생산성 향상, 경쟁우위 확보, 데이터, IP 보호를 위해 신뢰할 수 있고 안전한 AI 기능을 갖춘 공급업체를 찾고 있다”며 “양사는 파트너십을 시작으로 새로운 수준의 자동화를 추진하며 생산성 향상과 사업 영향력 극대화를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 에드테크 역량 강화…메조미디어, CJ AI센터 ‘AI 카피라이터’ 도입 추진
- ‘SAP 사파이어 2023’ 개최… AI 기반 미래 비즈니스 제시
- GCP, ‘시큐리티 AI 워크벤치’ 출시…생성AI로 보안 강화
- 엔비디아, 싱텔 MEC에 가속컴퓨팅 플랫폼 공급
- 메타, 생성AI 디지털 마케팅 툴 ‘AI 샌드박스’ 도입한다
- IBM, 비즈니스용 생성AI 플랫폼 ‘왓슨X’ 발표
- 엔비디아, '시그래프 2023'서 20여개 연구논문 발표 예고
- 엔비디아, 고급 AI 지원 ‘DGX H100 시스템’ 상용화
- 서비스나우, AI 기반 인력 역량 플랫폼 기업 히치웍스 인수
- 서비스나우, ‘구매 조달 서비스 관리’ 서비스 업데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