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4분기부터 美 완성차OEM에 양극재용 전구체 공급
SK에코플랜트가 투자한 미국 폐배터리 리사이클링 기업 ‘어센드엘리먼츠’가 미국 완성차기업과 10억달러 규모의 계약을 체결했다.
어센드엘리먼츠는 지난 7일(현지시간) 내년 4분기부터 미국 거대 완성차기업에 양극재용 전구체를 공급하는 계약을 체결했다고 15일 밝혔다. 계약 규모는 최소 10억달러다. 향후 고객사 요청에 따라 공급 규모는 50억달러까지 확대될 수 있다.
양극재는 배터리의 용량과 출력 등 배터리 성능을 결정하는 핵심소재다. 전기차(EV) 배터리 생산원가의 40%를 차지한다. 전구체는 양극재를 만들기 위한 가장 중요한 기초 원재료다. 어센드엘리먼츠는 2015년 메사추세츠 주에 설립된 폐배터리 리사이클링 전문기업이다.
SK에코플랜트는 폐배터리 리사이클링 시장 선점을 위해 어센드엘리먼츠의 기술력과 성장잠재력에 주목하고 지난해 8월 5천만달러(약 638억원), 올해 4월 1,084만달러(약 138억원) 등 총 6,084만달러(약 776억원)를 투자해 최대주주 지위 및 이사회 의석 1개를 확보하며 경영활동에 참여하고 있다.
어센드엘리먼츠는 현재 켄터키주 홉킨스빌에 북미 최초의 양극재용 전구체 상업생산 시설을 건설 중이다. 지난해 10월 미국정부로부터 4억8000만달러 상당의 보조금을 지원받았다.
이 회사는 시설에 총 10억달러 이상의 투자를 계획하고 있다. 준공 후에는 연간 75만대의 전기차에 공급할 수 있는 양극재용 전구체를 생산할 수 있게 된다.
마이클 오크론리 어센드엘리먼츠 CEO는 “전세계 양극재용 전구체 대부분이 아시아에서 생산되고 있지만 켄터키 공장이 준공되면 앞으로 북미에서도 양극재용 전구체 생산이 가능하게 되고, 나아가 북미 배터리 원재료 공급망 확보가 가능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SK에코플랜트는 폐배터리 리사이클링 기술 내재화와 전세계 주요 거점 확보를 통해 글로벌 폐배터리 리사이클링 시장 확대에 나서고 있다.
자회사 테스(TES-AMM) 등을 통해 미국, 유럽, 중국 등 배터리 산업 요충지를 포함한 23개국 50개 거점을 보유하면서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유럽 핵심원자재법(CRMA) 등에 대응가능한 역량을 갖췄다.
어센드엘리먼츠 이사회 멤버인 최은영 SK에코플랜트 글로벌환경투자 담당임원은 “어센드엘리먼츠 경영 참여 및 양사 전략적 협력을 더 강화해 혁신기술 및 안정적인 공급·수요망을 확보함으로써 북미를 포함한 글로벌 폐배터리 시장을 선점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 SK시그넷, 美 전기차 심포지엄 ‘EVS36’서 초급속 충전기 V2 공개
- LG엔솔, 수입차 딜러 7개사와 BaaS 사업 확대 ‘맞손’
- “기술 제값 받도록 하겠다”…특허청, 지식재산 평가관리센터 신설
- “전세계 상위 6개 리튬 생산업체, 전세계 생산량 57% 점유”
- LS그룹, 충남 아산 토리컴 사업장에 황산니켈 공장 준공
- SK온, 에코프로·GEM과 전구체 생산시설 확충…"연산 5만톤, 내년말 완공"
- LG엔솔, 中 1위 코발트 생산기업과 연내 합작법인(JV) 설립
- LG화학, 고려아연 ‘켐코’와 리사이클-전구체 합작법인(JV) 설립
- 포스코케미칼, GM과 양극재 합작회사(JV) 설립…북미 공급망 강화
- 리튬-황 전지성능 높인다…다공성 2차원 무기질 나노소재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