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온이 국내외 파트너사들과 새만금에 배터리 핵심소재 생산시설을 구축한다.
SK온은 에코프로, GEM(Green Eco Manufacture)이 참여한 ‘지이엠코리아뉴에너지머티리얼즈’는 24일 전북 군산시 라마다호텔에서 전구체 생산시설 건립을 위한 투자협약을 체결한다고 전했다.
이날 체결식에는 김병훈 에코프로머티리얼즈 대표이사, 허개화 GEM 회장, 최영찬 SK온 경영지원총괄 사장, 신영대 국회의원, 김관영 전라북도지사, 강임준 군산시장, 김규현 새만금개발청장 등이 참석한다.
3사는 이번 협약에 따라 최대 1조2100억원을 투자해 내년 완공 목표로 연간 생산량 약 5만톤 수준의 전구체공장을 연내 착공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지이엠코리아는 전구체 생산능력을 순차적으로 확대할 계획이며 1천명 이상의 대규모 인력을 고용할 예정이다.
전구체는 니켈, 코발트, 망간 등 원료들을 섞은 화합물로 양극재 원가의 65%~70% 이상을 차지하는 핵심원료다. 전구체 5만톤은 전기차 30만여대 분(1대당 105KWh기준)의 배터리에 필요한 양극재를 생산할 수 있는 양이다.
새만금공장 전구체는 인도네시아에 위치한 별도의 3사 합작법인에서 생산하는 니켈 중간재(Nickel Mixed Hydroxide Precipitate, MHP)를 원료로 사용할 예정이다. 3사는 지난해 11월 니켈 중간재 생산법인 설립 협약을 체결하고 내년 3분기부터 연간 순수 니켈 약 3만 톤에 해당하는 MHP를 양산할 계획을 밝힌 바 있다.
최영찬 SK온 경영지원총괄 사장은 “하이니켈 개발 등 앞선 기술력을 증명해온 SK온은 이를 뒷받침 할 수 있는 원소재 공급망 강화를 통해 글로벌 경쟁력을 한층 강화해 나갈 것”이라며 “동시에 지역경제 활성화, 동반성장에도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SK온은 전날(23일) 서울 종로구 SK서린사옥에서 에코프로·GEM과 전구체 생산을 위한 3자 합작법인인 지이엠코리아뉴에너지머티리얼즈 설립 양해각서를 체결했다.
SK온은 원소재 공급망 강화를 위해 다양한 협력 관계를 맺고 있다. 지난해 칠레 SQM, 호주 업체들인 레이크 리소스, 글로벌 리튬 등 리튬생산기업들과 공급계약을 체결했다. 리튬은 양극재 핵심원료다.
음극재의 경우 지난 7월 호주 시라와 천연 흑연 수급을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했으며, 올해 1월 미국 우르빅스와 음극재 공동개발협약(JDA) 체결소식을 알리기도 했다. 이 외 스위스 글렌코어, 포스코홀딩스 등 다양한 기업들과 원소재 협력을 맺고 있다.
관련기사
- SK시그넷 실적발표, 지난해 매출 1,626억원…“해외 실적이 전체 81%”
- 현대모비스, 4륜 독립제어 가능한 ‘인휠 시스템’ 개발
- 전세계 전기차(EV) 시장 성장 지속세…中, 시장 성장 주도
- [포토] SK온, 각형 배터리 첫 공개…“올해 안에 양산한다”
- SK에코플랜트, 테스·에코프로와 유럽 폐배터리 재활용 시장 공략 강화
- LG엔솔, ‘인터배터리 2023’서 소재·공정 혁신기술 선보인다
- 美 부티지지 교통부장관, SK온·포드 배터리 합작공장 방문
- SK온, 美 우르빅스와 배터리 음극재 공동개발…“IRA 선제적 대응 강화”
- LG엔솔, 美 7조2000억 투자…“7개 생산기지 확보, EV·ESS 수요에 대응”
- 엔비디아 ‘드라이브 오린’, BYD 전기차(EV)에 탑재된다